본문 바로가기

통일 미래 길잡이/통일문화공간

북한영화 '도시처녀 시집와요'


북한의 영화!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북한을 대표하는 영화라고도 할 수 있는 영화, ‘도시처녀 시집와요’를 지금 바로 소개합니다 

영화 '도시처녀 시집와요(1993)'는 보천보전자악단에서 창작한 동명 가요에 모티브를 얻어 만들어진 영화로써 도시 여성과 농촌 총각의 결혼을 주제로 하여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도시여성들의 농촌에 대한 편견과 인식을 개선시킴으로써 농촌 총각과 도시 처녀의 결혼을 권장하고 계몽하려는 성격을 스스럼없이 드러내고 있습니다. 북한도 우리나라가 당면한 문제와 마찬가지로, 젊은 여성들의 도시 거주 선호가 나타나고 있고 이로써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적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죠.


 

영화의 모티브가 된 동명 가요인 '도시처녀 시집와요'를 감상하고 가실까요?


 

고개 너머 령을 넘어 버스를 타고
도시처녀 리상촌에 시집을 와요

차창밖에 웃음꽃을 방실 날리며
새 살림의 꿈을 안고 정들려와요

시집와요 시집와요 도시처녀 시집와요
문화농촌 하좋아 우리 살림 하좋아 시집을 와요

다소곳이 숙인 얼굴 얌전도 해라
싱글벙글 신랑총각 의젓도 해라
모내기 때 남모르게 맺어진 사랑
황금가을 좋은 날에 무르익었소

시집와요 시집와요 도시처녀 시집와요

문화농촌 하좋아 우리 살림 하좋아 시집을 와요
신랑신부 마주보며 노래 부르니
로인 내외 너무 좋아 어깨 춤 추네
농촌테제 이 땅우에 꽃펴나더니
도시처녀 농장총각 한쌍이 됐소

시집와요 시집와요 도시처녀 시집와요
문화농촌 하좋아 우리 살림 하좋아 시집을 와요

시집을 와요


노래가사 출처 : 네이버 뮤직 


주인공 리향은 도시 의류공장 직원으로서 자신의 능력을 한껏 인정받으며 성공한 여성입니다.  그러나 일손을 돕기 위해 농촌으로 간 그녀는 그곳에 살고 있는 성식을 보고 ‘위대한 당 수령님의 이상을 실현시키려는 포부를 가진 남성이라면 농촌에서도 살 수 있다’라고 생각하며 도시에서의 성공을 포기하고 농촌으로 내려가 성식과 결혼하여 살게 됩니다. 사회주의 사상에 따른 집단주의 성향의 삶의 방식을 지닌 북한 주민과 이에 따른 북한 체제의 현주소를 잘 보여주고 있는 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영화가 체제 선전적인 요소가 전면적으로 드러났던 기존의 다른 북한 영화와 다른 점이 있다면, 농촌총각과 도시여성의 사랑을 크게 내세움으로써 시청자의 관심을 끌도록 한 신세대적 감성을 가진 작품이라는 점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남녀 사이의 애정도 지도자에 대한 충성과 체제 선전으로 결론이 나게 되는 북한 예술작품이 가진 특징을 전형적으로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점은 “한 삽의 흙은 첫 걸음에 불과하지요. 위대한 어버이 수령의 뜻을 받들어 한 삽, 두 삽 쌓으면 농촌 발전과 기계화의 밑거름이 될 것이랍니다.”, “농촌에서 어버이 수령의 발자취를 찾을 수 있지요. 농촌에서 공산주의의 새살림을 마련해야 합니다.” 등의 수령을 찬양하는 대사를 통해 짐작할 수 있지요. 이를 문학예술의 종자론[각주:1]적 성격이라고 합니다. 또 “힘을 내어 일한다면 공산주의적 이상주의가 마을에도 뿌리내릴 것입니다.”, “사회주의 농촌체제는 우리시대 청년들의 꿈과 지향점이지요.” 등의 대사를 통해 사회주의 사상과 이념을 강조하여 주민들의 단합을 이끌어내고 있는 것을 살필 수 있습니다.


▲결혼하는 리향과 성식▲결혼하는 리향과 성식

 

그러나 영화를 예술의 한 분야로써 즐기지 못하고, 예술에서조차 사상에 갇혀 있다는 점이 참 안타까웠습니다. 북한 당국이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를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있지만 오히려 이 작품들이 비밀리에 성행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러한 이유와 같은 맥락 때문일 것입니다. 체제 선전적 내용을 담은 북한의 작품들에 비해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는 인간의 순수한 마음, 솔직한 감정, 자유로운 주제를 담아내기 때문에 그것에서 공감을 느끼게 되고, 우리와 같은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열광하게 되는 수준까지 이르게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북한주민들의 생활상과 그들이 직면한 현실 문제를 느끼고 싶으시다면 영화 '도시처녀 시집와요'를 추천합니다. 

화를 보시면서 남북한 영화의 차이점을 비교해보는 재미도 함께 느껴보세요!


 

 

  1. 사회주의적 내용을 담은 주체적이며 혁명적인 문학예술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