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께서는 통일을 어떻게 생각하고 계신가요?
통일이란 우리 민족이 하나로 합쳐 이전의 분단을 극복하고 앞으로 21세기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나갈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이며, 한민족의 단결을 위하여 꼭 통일을 해야 한다고 우리는 배워왔습니다.
하지만 자라나는 우리 어린 세대들도 과연 이렇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분명한 사실은 통일문제는 분명 우리 세대로만 끝나는 것이 아닌 미래의 통일 세대를 이끌어 갈 어린 세대들도 또한 함께 고민하고 다뤄야 할 과제라는 것입니다.
바로 미래의 통일을 이끌어 나갈 어린 세대들의 생각을 알아 볼 수 있는 뜻 깊은 전시회가 열려 다녀왔습니다.
바로 제17회 나라사랑·평화사랑 글짓기, 그림대회 입상작 전시회입니다. 어린 세대들의 어린이들의 맑은 눈을 통해 나라사랑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하고, 시민들에게 보다 의미 있는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최된 이번 전시회는 미래의 주역인 어린 세대들의 나라사랑·평화사랑 정신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지하철 4호선 삼각지역 안에서 전시되어 지나다니던 시민들 또한 큰 호응과 관심을 표하였습니다.
글짓기 대회에서 대상을 탄 초등학생의 글입니다.
6·25전쟁에 대한 안타까움 그리고 평화를 사랑하는 마음이 어린아이의 순수한 시선 속에 묻어나는 듯 했습니다. 이렇게 민족상잔 비극의 역사를 다시 초래하지 않도록 앞으로 통일은 꼭 이루어져야 할 우리민족의 과제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기대회에서 대상을 탄 작품입니다. 작품명이 '통일이 되면 남북은 하나가 돼요'입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독일 분단의 장벽이였던 베를린 장벽처럼 대한민국 분단의 장벽인 비무장 지대를 뚫고 태극기를 흔들며 올라가는 사람들을 그린 작품 속에서 통일에 대하여 어린 세대들 또한 빨리 하나가 되어 평화로운 대한민국을 이루어가기를 원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글짓기 대회에서 또다른 대상을 탄 초등학생의 글입니다. 우리나라를 위해 싸우다 순국하신 조상들에 대한 감사함과 통일에 대한 염원이 함께 실려 있습니다. 글 맨 끝에 나와 있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가 아닌 하나로 이어진 행복한 대한민국이 되기를 희망한다."라는 말에서 어린 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통일 및 하나에 대한 강한 바람 및 희망을 느낄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이렇게 아이들은 통일에 대한 강한 염원 및 바람, 그리고 희망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통해서 한반도가 분단국가에서 벗어나 꿈에 그리던 통일을 이룰 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이번 전시회를 보면서 가질 수 있었습니다.
어린이들의 순수한 생각을 지하철역을 지나다시던 많은 관람객분들이 보시고 좋아하셨습니다. 특히 할머니들께서 전시회 작품들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표명하신 것은 개인적으로 굉장히 눈길이 갔습니다. 이분들이 잠깐 경험하셨던 통일 한반도가 빨리 우리 곁에 나가오기를 이번 전시회를 보면서 더욱 느낄 수 있어서 뜻 깊은 시간이였습니다.
앞으로 통일에 대한 물질적인 준비는 통일항아리를 준비하면서 더 차곡차곡 모이겠지만, 이러한 물질적인 준비와 더불어 더 심혈을 기울여 준비되어야 할 것이 바로 정신적인 준비인 왜 우리가 통일을 해야하고, 통일을 통해서 우리는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라고 하겠습니다.
최근 신문기사들을 보았을 때, 그 전보다 통일에 대한 생각 및 자각이 많이 약해졌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이번 전시회를 보면서 앞으로 우리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어린 세대들이 앞에서 보여준 나라사랑과 통일, 평화에 대한 생각을 계속적으로 키워가며 통일을 꼭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강한 확신이 생겼습니다.
앞으로도 통일에 대한 어린이들의 순수한 생각과 사고를 볼 수 있는 많은 행사들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통일 미래 길잡이 > 현장과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88만원 세대의 통일포비아 극복하기 : 통일시대를 준비하라 (2) | 2012.09.30 |
---|---|
허기자가 간다! 저의 꿈은 통일부 상생기자단이에요! (7) | 2012.09.28 |
창원 용지공원의 미(美)를 더하는 경남통일관 (2) | 2012.09.21 |
통일세대 상상력의 공간 : 고등학생의 남북한 이해와 통일세상 만들기 (1) | 2012.09.18 |
서울에서 만나는 북한음식 (2) | 201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