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 미래 길잡이/북한 전망대

북한에도 '현충원'이 있을까?

 

 


 
북한에도 '현충원'이 있을까?

 

안녕하세요? 통일부 상생기자단 4기 지혜연 기자입니다.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라고도 하는데요. 호국보훈이란, 현충일과 6·25 전쟁을 연계해서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국가유공자 분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하는 뜻을 의미합니다. 또한 그 유족 분들과 아픔을 함께 나누는 달이기도 하지요. 그분들의 넋을 위로하고 애국심을 함양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는 '국립 현충원'이 모두 2곳으로 서울과 대전에 각각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한에도 우리와 같은 현충원이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북한에도 현충원이 있다'라고 대답할 수 있겠습니다. 북한에는 크게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이 있습니다. 그 중 '혁명역사릉'은 '애국열사릉'보다 더 높은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고 합니다.

 

 

▲ 혁명역사릉 (중앙일보 2007년 7월 29일자)

 

'혁명역사릉'은 1975년 10월에 지어졌으며, 평양특별시 대성산 주작봉 마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합니다. 총 면적은 35만m²이며 입구는 둥근 기둥 위에 합각지붕으로 되어있고, 1990년대에는 100명이었다가 지금은 140명 정도로 늘었다고 합니다. 이 곳에 안치된 사람들은 북한정권의 1세대가 대부분입니다. 즉,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어머니인 김정숙, 김일성 전 주석의 동생 김철주 등 김정일 일가를 중심으로 한 가족묘역이 조성되어있다고 하네요.

 

 

그 외에 김일성 전 주석 일가가 아니어도 '혁명열사릉'에 안치된 사람들은 전 인민무력부장 오진우, 전 인민무력부 부부장 김봉률 등이 있습니다.

 

 

그러면 '혁명열사릉'은 어떤 모습일까요?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각 묘비 앞에 반신상과 비석이 하나씩 놓여있습니다. 그리고 비석에는 이름과 생년월일, 인물에 대한 약력이 적혀져있다고 합니다.

 

 

▲ 혁명열사릉에 있는 김정숙 반신상(김정일 위원장 어머니)

(동아일보 2008년 09월 23일자)

 

 

 

그렇다면 '애국열사릉'은 어떤 곳 일까요?

 

 

▲ 애국열사릉 정문 (중앙일보 북한네트사진)

 

▲ 애국열사릉 모습 (중앙일보 북한네트사진)

 

'애국열사릉'은 평양특별시의 형제산구역 신미동에 있습니다. 여기에는 북한정권 수립 전후에 북한체제를 위해서 충성을 맹세한 사람들만 안치될 수 있다고 하네요. 하지만 단지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 노력한 사람만이 아니라 일제시대 독립운동가, 한국전쟁 때 납북된 많은 민간인, 그리고 문예, 무용가, 과학자, 국어학자들이 여기에 묻혀있다고 하네요.

 

예를 들면, 한국전쟁 때 납북된 김규식, 조완규, 조소앙,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무용가 최승희, 작곡가 이면상, 그리고 소설가 이기영, 국어학자의 이극로 선생님 등이 묻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혁명열사릉'과는 다르게 반신상은 없고 비석에 사진이 새겨져 있다고 합니다.

 

▲ 무용가 최승희

 

 

 

▲ 무용가 최승희 애국열사릉 비석

 

 

 

자!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현충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 국립 서울 현충원의 안장 대상에 관한 기준

 

 

▲ 국립 대전 현충원의 안장 대상에 관한 기준

 

 

위 자료를 보신 바와 같이 북한의 '혁명열사릉', '애국열사릉'과 우리나라의 '현충원'의 가장 큰 차이는 안장 대상에 대한 기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순직하신 소방관, 경찰관 그리고 나라를 위해서 목숨을 바친 일반 군인들도 '현충원'에 안치될 수 있는 반면, 북한의 경우 철저히 사회주의 국가 건설 및 김일성 전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충성을 맹세한 사람들의 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북한의 묘지에도 철저하게 신분과 계급이 적용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현충탑 (국립 현충원에 있는 현충탑)

 

여러분!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해 저는 북한의 '현충원'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아마 이제까지 6월 6일 현충일은 공휴일인 '빨간 날'로 기억하시는 분들이 더 많으시겠죠? 이번 6월 6일에는 국립 현충원을 방문해 국화 한 송이를 헌화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나라와 국민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 많은 군인들이 계시지 않았다면, 오늘날 우리는 존재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이제까지 통일부 상생기자단 4기 지혜연 기자였습니다. ^^

 

 

출처 : 이경식 저 <북한의 생각 북한의 생활 북한의 사람들>

무용가 최승희 사진 출처 : http://betterface.tistory.com/516

무용사 최승희 묘지 출처 : http://durl.me/9ix7i

국립 서울 현충원 사이트 : http://www.snmb.mil.kr/index.html

국립 대전 현충원 사이트 : http://www.dnc.go.k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