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조선일보 [심현정 기자 hereiam@chosun.com]
7일(일) 저녁 7시 KBS ‘도전! 골든벨’에서 여름방학특집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이 방영됐다. 경주고등학교 3학년 하영구 군이 최후의 1인이 되어 골든벨을 울렸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주최로 열린 이번 KBS ‘도전! 골든벨’ 여름방학 특집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은 전국에서 8천여 명의 고교생 지원자가 몰렸고, 12번의 지역예심을 거쳐 100명이 선발되었다. 8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전국 곳곳에서 선발된 도전자들은 골든벨을 울리겠다는 열정으로 가득 찼다.
의외로 8번 문제에서 45명이 대거 탈락했다. 20번 문제가 끝나자 남은 학생들은 7명이었다. 탈락한 학생 중 75명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을 이어 불러 부활할 수 있었다.
21번 문제는 기존 골든벨 문제의 형식과 색달랐다. 30초간 도전자들의 세계관이 반영된 세계지도를 그리는 문제였다. 각자의 개성이 드러난 도전자들의 지도는 모두 정답이었다. 정예은 학생(경기 과천외고 3)은 독도를 크게 그려 일본의 역사왜곡을 비판했고, 김성훈 학생(전북 이리고 1)은 여러 개의 원을 그려 다른 문화가 공존하는 세계를 표현했다.
이번 방송에는 임형주 팝페라 테너가 특별출연해 32번 문제를 냈다. 임형주 팝페라 테너는 작년에 한국인 최초, 세계 최연소로 UN 평화메달을 수상했다. 그는 도전자들을 위해 “You raise me up”을 불렀다.
이 날 골든벨은 경북 경주고등학교 3학년 하영구 학생이 울렸다. 하 군은 골든벨 세 문제 중 두 개를 가뿐히 맞혀 우승을 거머쥐었다.
골든벨 문제, 함께 맞혀봅시다!
문제 8. 다음에 들어갈 숫자를 모두 더하면 얼마일까요? - 삼일절 노래 중 “○○○이 하나로” - 무궁화 “○○리” - 민족대표 “○○인”
문제 20. 출처 : 네이버 영화
2000년 개봉한 이 영화는 통일부 공식 반출 승인 후 북한에 간 최초의 한국영화입니다. 박찬욱 감독의 이 영화는 DMZ란 소설을 원작으로 했으며, 개봉 당시 약 600만 관객을 모아 흥행했고 청룡영화제의 최다부문에서 수상했습니다. 남북한 병사의 우정과 분단의 아픔을 그려낸 이 영화의 제목은 무엇일까요?
문제 38. 강원도 속초는 토박이보다 이북 출신이 더 많아 함경도 월남민의 고향으로 불립니다. 1.4 후퇴 이후 고향을 잃은 사람들이 바닷가에 자리 잡은 이곳은 ‘속초시 청호동’이라는 행정구역 주소보다 이것 마을이라고 더 많이 불립니다. 이 마을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문제 41. 1988년 노태우 정부는 사회주의권과 외교관계를 넓히는 ‘북방외교’를 추진했습니다. 이에 따라 소련, 중국 등 적대국으로 여기던 사회주의국가들과 수교를 하게 됐는데요. 북방외교에 따라 최초로 수교를 맺은 나라로, 1956년 대규모 반소련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던 이 나라는 어디일까요?
[골든벨 문제]
골든벨 문제 1번. 출처 : 위키백과 (원자폭탄 투하 후의 모습)
매년 8월 6일과 9일, 일본은 이 두 도시에 떨어진 원자폭탄 때문에 희생된 피해자들을 추모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핵폭탄을 투하해, 세계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원폭 공격을 받은 일본의 두 도시는 어디일까요?
골든벨 문제 2번.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출처 : 위키백과
- 2차 세계대전 종반인 1945년 2월, 전후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회담 - 소련군의 한반도 진주 허용 - 한국 분단의 결정적인 계기가 됨
답8. 30,003,033 (3천만, 3천리, 33인) 답20. 공동경비구역 JSA(Joint Security Area) 답38. 아바이마을 답41. 헝가리
골든벨문제1번답. 히로시마, 나가사키(사진은 히로시마 원폭 투하 후 모습) 골든벨문제2번답. 얄타회담 (1945년 미, 영, 소 참여. 소련, 대일전 참전 선언. 38도선을 경계로 하는 분할점령 결정. 사진은 왼쪽부터 처칠-영국, 루즈벨트-미국, 스탈린-소련) |
'통일 미래 길잡이 > 통일문화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Z 다큐멘터리 영화제에 초대합니다 :) (0) | 2011.08.13 |
---|---|
그 때 실미도 특수부대는 왜... (0) | 2011.08.10 |
영화 고지전으로 살펴본 전시 상황 (0) | 2011.08.06 |
삶의 슬픔이 침묵으로 흐르는 영화 <두만강> (0) | 2011.07.31 |
반항아의 시선으로 바라본 재일 조선인의 삶, 영화《GO》 (0) | 201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