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 미래 길잡이/통일문화공간

다큐멘터리 <서울기차>, 탈북자들의 길을 묻다

 

The road defectors take (1) Pastor Chun Ki Won

Documentary ‘Seoul Train'

 

 

 

 

 

 

 

 

 

 

We are often encountered with all kinds of horrible stories on how the North Koreans caught during the defection (an act of leaving North Korea illegally) get treated. One can only guess the details because they don’t usually survive to pass on the story. Despite the allegation of horrifying tortures that defectors would likely to face once repatriated, they still try to leave because staying means starving to death. The documentary “Seoul Train” talks about the journey defectors take and the impediments behind the rough, patchy road.

 

 

 

 

 

 

Embassy Outbreak

 

     Han-mi family met with U.S. president Bush from his invitation to the White House in 2006. Not speaking a word of English, Han-mi remembers that event as “although I couldn’t understand him (President Bush), I remember him being very nice to me.”[1] What made President Bush to take a special interest in this loveable, but ordinary girl Han-mi?

 

 

     Han-mi’s family tried to defect North Korea in 2002 by breaking into Japanese Embassy in China. Their attempt failed as the men in family didn’t stick with the plan. The plan was that the men would push away the guards so that the women can enter in first and they'd follow later. However, when attempting the plan, the men ran away by themselves leaving the women to be grabbed by the guards. Although the men succeeded in entering into the embassy, they were taken out by the guards eventually because Japanese embassy didn't try to protect them.

           Although their attempt was a complete failure, Han-mi family was able to come to South Korea thanks to the media fervor in the footage of their enterance. They became the symbol of North Korea defector, but they were able to avoid the fate of hundred other defectors who have been caught and sent back home.

 

Pastor Chun Ki Won

 

           As a leader of Underground Railroad group, Chun Ki Won took out about 706 people out of North Korea up until 2008[2]. During the escape, he faced numerous counts of danger. This documentary follows the details of an event that led to the detainment of pastor Chun by Chinese government for eight months in which he was trying to help 12 defectors cross over to Mongolia. The prosecutor that handled his case later became his son-in-law. Although his life is filled with a full of miraculous surprises, same can't be said for the defectors he continuously try-and sometimes fail- to save.

          The documentary begins with the group of twelve young adults putted into a safe house where they eat and rest well so they'd be able to disguise as a South Korean tourist in China. They chose Mongolia as the last destination because the chance of repatriation in Mongolia is much less than the chance they'd counter in China. Guided by Pastor Chun, the defectors go through a series of unnerving inspections where they use fake IDs to ensure their false identities. They seemed to almost have escaped from North Korea reaching to the last borderline between China and Mongolia. However, the next screen is blank except for a sentence stating that “Chinese authorities arrest Chun and the refugees at border”. At the end of the documentary, it tells us that U.S. congressman worked to take out two of the members from China. The rest were repatriated. Pastor Chun served 8 months in the Chinese prison.

 

.

 

           Chinese authority is more severe than any other countries on finding and repatriating North Korean defectors. They even hand out reward for reporting whereabout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ward strategy is working very well[3]. With million eyes rolling over to figure who are the defectors, they have no other choice but to prolong the long and dangerous journey to reach a different country like Mongolia.

 

China’s insistence

 

In the next series, I’d like to talk more about China. For a sneak peak, this documentary shows how China is rigorous about sending defectors back to North Korea despite the criticism it receives from international society. 

 

 

 



 


 




탈북자들의 길을 묻는다 (1) 천기원 목사.

다큐멘터리 서울기차



 

북한이탈주민 2만 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그들의 탈북 과정을 생생히 다룬 다큐멘터리 <서울 기차>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다큐멘터리를 한번도 만들어 본 적 없다는 3명의 미국인들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관심 하나로 만든 이 작품은 뉴욕 국제인권영화제를 비롯하여 14개의 영화제에서 수상했습니다. <서울기차>에서는 그들의 탈북 시도를 목숨 걸고 돕는 천기원 목사님을 비롯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을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불법이민자라 하여 북으로 송환하는 중국에 대해 짧지만 깊은 담론도 나눕니다. 오늘은 다큐멘터리 중 천기원 목사의 구출과정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영사관 난입작전

 

           한미 가족이 부시 대통령의 초대에 의해 백악관에 가게 된 것은 2006년도 일입니다. 당시 여섯 살이던 한미는 그 만남에 대해 이렇게 기억합니다. “(부시 대통령이)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는 (영어를 몰라) 알아 듣지 못했지만 그 분께서 절 귀여워해주시던 것은 기억나요.” 귀엽지만 평범한 꼬마소녀 한미를 부시 대통령이 백악관에 초청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것은 한미가 2002년 미디어에 들끓었던 "영사관 난입작전"의 주인공이었기 때문입니다.


           2002년 한미가족은 탈북한 후 중국에 있는 일본 영사관에 도움을 요청하고자 했습니다. 결과만 말하자면 이 영사관 난입작전은 실패했습니다. 작전을 따르자면 한미가족의 남자들이 경비원들을 밀쳐내어 여자들이 먼저 들어가게 한 후 자신들이 뒤따라 들어가는 것이었는데 너무 긴장한 나머지 남자들은 경비원들을 제대로 밀치지 못하고 자신들만 먼저 영사관에 들어간 것입니다. 남자들이 들어간 후 여자들이 들어가려는 것을 경비원들이 제지하는 영상이 세상에 공개되자 이것은 언론에서 큰 방향을 일으켰습니다. 남자들은 영사관에 도착하긴했지만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도움이 없어 체포되었습니다.


영사관 난입작전은 실패했으나 언론 관심의 압박에 못 이겨 중국정부는 한미가족을 한국에 보내주는 것에 대해 동의하게 되었습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상징이 된 한미가족은 그 후 무사히 한국으로 도착했습니다.

 




목사 천기원씨

 

지하 철도 그룹 (북한이탈주민들의 탈북을 돕는 조직)의 리더인 천기원 목사는 2008년도까지 706명의 탈북자를 구출했습니다. 그들을 구출하는 매 순간마다 위험은 도사렸지만 천기원씨는 아시아의 쉰들러라는 별명에 걸맞게 위기의 순간을 지혜로 극복했습니다. 그러나 이 다큐가 찍었던 2001년 12월 28일의 구출 작전은 실패로 끝났고 그는 중국감옥에서 8개월 동안 투옥해야만 했습니다. 감옥에서 머물 때 그의 재판을 담당했던 검사는 지금 그의 사위로서 한국에 있습니다. 드라마의 한 장면을 보는 듯 한 그의 다채로운 삶 중심에는 북한이탈주민이 언제나 우선 순위에 있었습니다.

          

            이 다큐멘터리는 서로 안 친한 듯한 12명의 사람들이 빈 집에서 요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요양하는 목적은 체력을 키우는 것도 있으나 궁극적으로 중국에 들어온 후 남한 여행객으로 가장할 수 있을 만큼 건강하게 보이기 위해서입니다어느 정도 건강하게 보이면 북한이탈주민들은 가짜 중국인 주민등록증을 이용해, 여러 검사대를 통과하며 탈북을 시도합니다이러한 내용으로 인해 보는 이로 하여금 한 장면, 한 장면 엄청 긴장하게 만드는데요. 집이라는 안정한 장소에서 다큐멘터리를 감상하던 저 마저도 입이 마를 정도로 다큐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습니다. 가장 안전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탈북하려면 몽골로 가야한다는 천기원씨의 말에 의해 중국까지는 무사히 도착한 북한이탈주민들은 그 곳에서 멈추지 않고 몽골로 향합니다. 그러나 슬프게도 중국과 몽골의 경계선 사이에서 천기원씨와 12명의 북한이탈주민들은 중국 경찰들에게 잡힙니다.



 


다큐멘터리 마지막 남은 1분은 그 그룹의 행방상태가 나타납니다. 12명 중 두명은 미국 국회의원들의 호소에 의해 풀려나옵니다. 천기원씨는 8개월 동안 감옥에 투옥하게 되었습니다. 나머지 10명은 강제송환 당했고 그들의 행방은 아무도 모른다고 나옵니다. 다만 중국에서 북한이탈주민임이 발각되어 송환되면 북한 형법 47조에 의해 극형에 처해진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생계형 탈북자들에 대한 체벌을 다소 완화했다고[4] 하지만 그래도 송환해서 만나야 하는 현실은 가혹합니다. 천기원 목사가 몽골을 제 3국으로 지정한 이유는 북한이탈주민임이 발각될 가능성이 중국에 비해 훨씬 낮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중국 정부가 비인도적이라고 비난받는 이유에는 중국에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을 송환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신고를 유도하려고 포상금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그럼 왜 중국은 북한주민의 탈북을 막으려고 노력할까요?


 

 


 

 


그리고 중국은

 

다음 번 글에는 중국의 입장에 대해서 더 적어보겠습니다. 이 다큐에서는 중국이 국제사회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을 묵묵히 북한에 송환하는 모습이 많이 보입니다. 중국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인지, 그리고 이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에 대해서 더 자세한 설명을 덧붙여 돌아오겠습니다.

 

배고픔을 못이겨 땅에 떨어져 있는 동물의 사료를 주워먹는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