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문화재도 지켜내야
통일이 되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저는 통일이 되면 북한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고 싶습니다. 북한학을 전공으로 공부하고 있는 제가 정작 북한에 가볼 수 없다는 사실이 안타까웠거든요. 하지만 곧 북한을 방문할 수 있는 날이, 그리고 북한에서 우리나라를 방문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 날이 오기 전에 북한에 있는 명소나 문화재를 살펴보는 것도 좋겠지요? 오늘 기사에서는 북한의 문화재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북녘의 문화유산-평양에서 온 국보들』특별기획전
<사진출처 :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300301 >
북한의 문화재를 접한 적 있으신가요? 그간 남한과 북한 사이에 역사·문화 교류가 없었던 것은 아닌데요. 우선,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한간 사회문화 분야의 교류협력이 확대되어 성과를 내기도 하였습니다. 그 예로 지난 2003년 서울에서는 『특별 기획전 고구려 - 평양에서 온 무덤 벽화와 유물』 전시회가 있었고, 2005년 고구려전 『대륙의 꿈, 고구려』를 개최하였습니다. 그 이후에도 남한 학자들이 평양 일대의 고구려 유적들을 북한 학자들과 공동 조사하는 성과가 있었으며 2006년에는 국보 50점과 준국보 11점이 포함된『북녘의 문화 유산-평양에서 온 국보들』이란 특별 기획전을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의 문화재 교류협력에 있어서 여러 한계와 제한도 있었습니다. 그동안의 교류는 북한에 대한 일방적인 지원에 불과했다는 것이지요. 앞으로는 지속적인 교류를 위해 남북간의 충분한 논의를 하여 제도를 마련하고 상호 교류가 가능해졌으면 합니다.
그렇다면, 북한의 문화재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북한에는 특히 고구려 문화재가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요. '고구려'하면 한반도 역사의 뿌리라고 할 만큼 우리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요! 북한에 있는 고구려 문화재 세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문화재 외에도 북한에는 한반도의 소중한 문화재가 많답니다.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시면 더욱 다양한 북한 문화재와 북한 관광·지역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북한문화재 자료관 http://north.nricp.go.kr/nrth/kor/inx/int.jsp
자료관 소개, 북한 문화소식, 문화재, 연표, 지도 등 검색 서비스 제공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et/
북한 행정구역별정보, 지도 및 동영상 자료, 인물탐방, 민속문화체험 등 정보 제공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tour.go.kr/
관광지식정보 통합 관리시스템, 관광동향분석, 출입국통계, 관광지 현황, 법령 등 수록
여기서 잠깐!
북한의 문화재 분류체계는 어떨까요? 남북한 문화재는 분류 기준과 관리 방법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요. 이를 분류상의 차이, 관리 방법상의 차이, 천연기념물 유무의 차이, 무형 문화재 포함의 유무 차이 4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표를 보면 남한과 북한이 문화재를 바라보는 시각이 어떤지 그 차이점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북한에 있는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 북한에서는 어떻게 관리·보존되고 있을까요? 북한의 헌법상으로는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지만 정부에서 엄격한 통제가 있는 북한 사회에서 사찰이 국보유적으로 지정 되어 있는 것만 보더라도 문화재를 보존하려는 노력이 보이지요.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민족문화의 발전에 그 목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북한의 체제 유지용으로 쓰이고 있다는 것에 문제가 있습니다. 즉, 북한 정권의 정통성 확보를 위한 문화재 관리가 있어온 셈이지요. 게다가 문화재 보존 기술이나 원자재 등이 낙후 되어 있어 문화재 원형 그대로의 모습을 기록해두고 살려냈을지는 의문이라는 시각이 많습니다.
뿐만 아니라 문화재의 해외 유출 방지, 해외 소재 문화재의 환수, 일본의 교과서 왜곡사건, 중국의 동북공정사업 등 대외적인 문화재 분야의 문제도 있습니다. 이렇게 대내외적으로 우리 문화재는 위기의 상황에 놓여있는데요. 통일이 되는 것은 우리 문화재를 지키고, 우리 문화의 정통성을 지키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하루빨리 통일이 되어서 한반도 전역의 우리 문화재가 겪는 위기의 상황을 남북이 공동으로 머리를 맞대고 대처해 나갔으면 합니다. 그리고 머지 않은 미래에 북한에 있는 우리 문화재를 직접 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통일 미래 길잡이 > 북한 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에도 운전면허 제도가 있을까? (0) | 2011.01.29 |
---|---|
북한의 체제유지에 이용되는 영웅담 (0) | 2011.01.28 |
북한 특권의 상징, 휴대전화 (0) | 2011.01.23 |
북한 학생들의 겨울방학은? (0) | 2011.01.22 |
북한에도 부는 한류바람 (0) | 2011.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