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학생들은 참 바쁩니다. 학점관리에 대외활동에 공모전에 몸이 열 개라도 모자를 지경이죠. 그래서인지 제가 ‘통일’에 대해 관심이 있다고 하면 저를 의아해하거나 특이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학생들, 통일에 관심이 있긴 한걸까요?
누가 뭐래도 우리나라는 분단국가입니다. 분단국가에 '통일‘이라는 문제는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죠. 그래서 대선을 앞두고 있는 요즘, 후보자들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대북 문제‘ 혹은 ’통일 문제‘입니다. 앞으로 이 나라를 이끌어갈 미래의 주역인 대학생들에게도 어떻게 통일을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지는 굉장히 중요한 문제일 것입니다.
20대 46.7%만이 "통일 필요"
올해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실시한 ‘2012 통일의식조사’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20대는 46.7%, 30대는 51.4%, 40대는 63.2%, 50대이상은 63.5%로 모든 연령층 중 20대의 응답률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작년과 비교했을 때 20대의 응답률이 5.9%나 상승한 것은 긍정적인 결과로 볼 수 있지만, 여전히 20대의 통일의식수준은 전 연령층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통일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필요할까요?
저는 그 방법 중 하나로 '통일교육'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중·고등학교 시절, 사회과목이나 역사과목에서 배워왔던 통일교육이 오히려 대학에 와서는 받아보기가 어렵게 됐습니다. 우선 대학의 교양과목 중 통일이나 북한에 대한 과목이 너무나도 적은 현실입니다. 특히나 정치외교학이나 북한학, 윤리학 등이 부재한 대학에는 단 한 과목도 개설되지 않은 게 우리나라 대학 통일교육의 현실입니다.
4년제 대학 중 47%만이 북한, 통일 관련 교과목 개설해
북한 혹은 통일에 대한 교과목이 개설된 곳은 2012년 3월 기준으로 4년제 일반대학 180여 대학 중 85개 대학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년제 대학 중 약 47%만이 관련 교과목을 유치한 셈이지요. 하지만 관련 교과목이 유치된 학교들 조차 대부분 해당 전공과목에 치우쳐 있을 뿐 교양수준의 교과목은 미미한 실정입니다.
<출처: 변종현, 「20대 통일의식과 대학 통일교육의 과제」, 2012 통일정책연구 제21권 1호>
위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북한이나 통일과 관련된 교과목이 개설된 학교는 대부분 해당 전공과목이 있습니다. 즉 해당과목이 전공으로 책정되지 못한 학교에서는 최소한의 통일교육도 받지 못한다는 말이지요.
대학의 통일교육 왜 중요한가?
앞서 언급했듯이 현시대 20대들은 전반적으로 북한에 대한 관심과 이해 수준이 낮습니다. 이에 남북한 통일에 대해서도 무관심해지지요. 또한 통일문제를 바라보는 시각도 예전과는 달리 당위성이 아닌 실리적 차원으로 변해가는 면모를 보입니다. 하지만 실리적이고 계산적인 부분만으로는 통일을 말할 수 없습니다. 사회적으로 통일에 대한 전반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대학의 통일교육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통일교육이란 장기적 관점을 가지고 통일역량을 만들어가며, 더 나아가 남북한의 사회·문화적 통합을 이루는데 중요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중·고등학교와 달리 대학은 통일에 대한 시각을 좀 더 넓게 바라보며 다양한 학문과 연계해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대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볼 때도 어느 시기보다 자유롭고 진취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내세울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올바른 통일교육을 통해 통일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행동을 이끌 수 있습니다.
저희 학교에는 정치학과 관련된 학과가 없다보니 북한이나 통일문제에 대해 배울 기회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학교육으로 관련 수업을 듣기 위해서는 학점교류를 통해 다른 학교로 나가야 하는 실정입니다. 미래의 주역인 대학생들이 올바른 통일관을 갖기 위해서 적어도 한 학교에 제대로 된 수업 하나는 개설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참고자료>
변종현, 「20대 통일의식과 대학 통일교육의 과제」, 2012 통일정책연구 제21권 1호
'대학생기자단 > 톡톡바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이탈주민들의 한국 전쟁 인식 (2) | 2012.12.20 |
---|---|
"납치된 국민들, 돌려달라!" : 몽골에서 북일 회담 열려 (2) | 2012.11.22 |
국제연합 상임이사국과 비상임이사국 사이에 (1) | 2012.10.25 |
대한민국의 UN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 그 의미는? (0) | 2012.10.22 |
리설주, 그녀는 왜 사라졌나? (2) | 201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