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에서 카톡왔숑 첫 번째 이야기, 북한인권법에서 통일까지 -
이희문 목사는 “정치하는 사람들에게 이 상태로 국가를 맡길 수 있을까 생각할 정도로 대한민국의 상황은 심각합니다. 또한 대학 졸업 후 취업준비를 하는 젊은이들이 우리 동족들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많이 힘들어 보입니다."라며 축사를 시작하였습니다. 이어 이희문 목사는 "그러나 북한이 지난 해 연평도와 천안함 사태를 일으키는 등, 대한민국에서 불미스런 일들이 일어났는데 이를 결과로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북한의 정권이 우리의 적이었구나를 깨달으며 새로운 인권 동아리들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인권을 향한, 탈북자들을 구하기 위한 청년들의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그 끝은 창대할 것입니다. 경기대에서 시작되어 그 불이 더욱 커지길 바랍니다."라며 축사를 마무리 하였습니다.
다음으로는 청년이 말하는 시대정신이라는 주제로 한여름 리버티 헤럴드 기자와 강철민 뉴포커스 기자의 브리핑이 있었습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을 위한 북한 인권법 제정의 중요성
한여름 리버티 헤럴드 기자의 북한인권법 브리핑
한여름 기자는 “바쁜 와중에 이 자리에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통일 한국이 이제 우리 시대의 정신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대 정신이란 일반적으로 각각의 시대에 널리 퍼져있는 정신적 경향이며 요컨대 그 시대 사람들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는 정신 상태를 말합니다. 그럼 통일이라는 주제가 어떻게 청년들에게 설득이 되어야할지 얘기해보겠습니다." 며 발표를 시작하였습니다. "북한 인권법을 제정해야만 북한이탈주민들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제정이라는 것이 구체적인 실효성도 중요하지만 ‘북한을 떠나 배회하고 있는 북한 주민들이 대한민국 국민이다’ 라는 국가적 선언이기에 제정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적어도 이곳에 모인 분들은 그 시대정신 앞에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며 북한 주민을 보호하는 것이라 말하는 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통일이 이루어지고 여러분들의 꿈이 북한의 땅에서 이루어지고 또 그곳에서 비상하기를 바랍니다."
강철민 뉴포커스 기자의 북한인권법 브리핑
강철민 기자는 "저는 통일한국과 청년의 할 일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북한인권법은 21세기 판 노예해방법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럼 청년들이 북한인권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고 북한인권법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대한민국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고 말하며 세 가지를 제시 하였습니다.
3R(Recive, Recommend, Raise)과 통일한국을 위한 세 가지
R Recive the information
"먼저 북한 주민들의 정보에 대해 알아야 하고 그 실상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R Recommend to other
다음으로 북한 주민들의 실상에 대해 알려야합니다. 이를 위해 SNS를 전략적으로 사용하였으면 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통해 북한과 인권, 이탈주민들의 상황을 정치인들에게 보내 그들에게 이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야 합니다.
R Raise
마지막으로 우리와 같은 사람들을 기르는 일에 지속적으로 피드백하고 공동체 네트워킹을 통해 북한 인권을 위해 길러야 합니다. 이들을 통하여 통일 한국의 담론을 형성하고 정론을 제시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강철민 기자는 "이 세 가지를 합쳐 3 restoration(복구, 회복)이 일어나는데 먼저 양심의 회복- 타인의 대한 관심과 거룩함의 회복- 이 일어나게 됩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사건사고가 많은데 이 양심과 거룩함이 사라져서 그렇습니다. 양심이 회복되면 거룩함이 회복되고 나아가 마지막으로 통일 한국의 회복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라고 말하며 발표를 마쳤습니다.
통일한국, 청년이 말한다 2부에서 계속됩니다.
'통일 미래 길잡이 > 현장과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한국, 청년이 말한다 (2)] 북한 인권법에서 통일까지 (2) | 2012.11.11 |
---|---|
김구 선생, 마지막의 꿈 '통일' : 백범기념관 10주년 기념식 및 학술회의 (1) | 2012.11.11 |
흥사단 금요통일포럼,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통일정책 제안 (0) | 2012.11.09 |
한반도 통일의 묘안, 『동양평화론』 (4) | 2012.11.05 |
북한 소재 고구려/발해 유적 조사를 위한 제언 : 2012 Asia Archaeology 국제학술심포지엄 (0) | 201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