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미디 많이 좋아하시죠? 저도 정말 좋아하는데요,. 최근에 인기있는 프로그램중의 하나는 "코미디 빅리그" 일 것이에요. 그 중에서도 남북을 주제로 개그를 하는 코너가 있으며 더욱이 엄청난 인기를 구사중이기에 소개해보고자 해요.
우선 코미디 빅리그는 현재 시즌2가 방영중이에요. 이 중에서 공동경비구역(JSA)를 배경으로 관객참여 개그가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데요, 이상준, 예재형 등의 개그맨이 방청석을 남한과 북한으로 나누어 관객이 참여하는 개그를 펼치며 각각 한 명씩을 뽑아서 대결을 펼치게 되요. 프로그램 초기의 게임 참여자 2인 중 우승한 1인이 가져가는 방식에서 최근에는 반으로 나눈 방청객 모두에게 선물을 나눠주는 엄청난 이벤트를 진행중이기도 해요. 이들은 북한의 핵폭탄, 남한의 송이병으로 불립니다. 이 코너는 두 일반인의 표정 변화와 예측할 수 없는 행동이 모두에게 웃음을 주고 있는 것인데요, 여기에 미군 헌병 역할의 ARMY, NAVY 를 등장시켜서 웃음을 더하고 있어요.
특히 최근에는 시즌2 의 챔피언스리그가 방영되면서 개그맨들의 온 몸을 내던진 진검승부가 펼쳐지고 있어요.
현재 아3인이 펼치고 있는 이 남북한의 개그는 코미디 빅리그 중에서도 대부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가장 인기 좋은 코너인데요. 이쯤에서 하고 싶은 말은 1위를 달리고 있는 개그의 주 무대인 JSA입니다.
사실 JSA는 모두들 많이 들어보셔서 어느정도는 알고 있을 거에요. 몇 년전 공동경비구역 JSA라는 영화로 이 곳이 어떤 곳이고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많은 분들이 아실거에요. 그러나 많은 어린 친구들은 JSA라는 단어가 생소할 수도 있는데, 그 어린 친구들이 이러한 JSA에서 펼쳐지는 개그를 보면서 잘못된 인식을 세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JSA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해요.
JSA 란 'Joint Security Area'를 뜻하며, 서울에서 서북방으로 62Km,북한의 평양에서 남쪽으로 215Km, 개성시로부터는 10Km 떨어져 있어요. 이를 판문점이라고도 부르는데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상에 있는 공동경비구역. 군사정전위원회 유엔사측과 공산측(북한,중국)이 군사정전위원회 회의를 원만히 운영하기 위해 1953년 10월 군사정전위원회 본부구역 군사분계선상(MDL)에 설치한 동서 800m, 남북 400m 장방형의 지대를 말해요.
판문점은 6·25 전에는 널문(板門)이라는 지명으로, 초가집 몇 채만 있던 외딴 마을이었는데요, 1951∼53년 휴전회담이 진행되면서 전세계에 알려졌어요. 처음에 이곳에 천막을 치고 시작한 휴전회담은 장장 1년 9개월을 끌었고, 휴전회담을 마친 뒤 정전협정 조인을 위해 부근에 목조건물을 지었으며, 그 후 본래 판문점보다 약간 남쪽의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고 하네요.
내부 시설로는 모두 24개의 크고 작은 건물이 세워져 있어요. 군사분계선상(MDL)에 동서방향으로 7채의 조립식 막사가 있고 그 가운데 하늘색의 T2건물이란 것이 `군사정전위원회 본회의실'이고 그 왼쪽이 T1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입니다. T는 '임시(temporary)'의 약자에요. 남쪽에 `자유의 집' `평화의 집'이, 북쪽에 `판문각' '통일각'이 있어요. 자유의 집 2층에는 지난 1971년 9월 20일 열린 남북적십자회담의 합의에 따라 대한적십자사연락사무소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사무소에는 북한과의 직통전화가 가설되어 있으며 2명이 상주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쪽의 사천(砂川)에는 민족분단의 상징인 '돌아오지 않는 다리'(옛 이름은 널문다리)가 놓여 있어요.
판문점은 지난 1953년 휴전협정이 맺어진 후 1967년의 '이수근위장귀순사건', 1976년의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등으로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긴장감이 감도는 장소였어요. 그러나 1990년에는 남북한 직접대화의 길이 열리며 이 곳에서 남북고위급 예비회담이 열렸으며, 이후 남북고위급회담에 참가한 대표들은 이곳을 통해서 '돌아오지 않는 다리'를 건너 돌아오기도 했어요. 2000년에는 이 곳을 주무대로 하는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가 인기를 끌기도 했구요. 최근 남북한간의 대화가 단절되며 판문점이 부각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하루빨리 통일이 되어 "판문점"이 역사의 장소로 남기를 기대해봅니다.
어떠세요? JSA 에 대해서 알고 재미있는 개그를 본다면 더욱 재미있게 즐기실 수 있을거에요.
사진 및 참고자료 출처: tvN
네이버 지식사전
'통일 미래 길잡이 > 통일문화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한반도>가 우리에게 던진 2가지 시사점 (0) | 2012.03.31 |
---|---|
북한에도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있을까? (0) | 2012.03.27 |
낯선 통일, 불편하다고 생각하는건 아닐까? (2) | 2012.03.23 |
목란언니, 남한과 북한의 경계를 넘다 (3) | 2012.03.16 |
통일을 염원하는 시(詩) (0) | 201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