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반 동안 북한 주민에게 특수 경로로 쌀을 보내는 후원 콘서트, <쌀의 노래>(관련 기사: 평화는 '쌀의 노래'를 타고 - 길가는 밴드의 북한 후원 콘서트 현장 르포)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그동안 주로 홍익대학교 근처 카페바인과 IVP 직영 서점 산책N잇다에서 공연을 했었는데요, 1회 <쌀의 노래> 공연 전, <IVF 전국 리더 대회>에서 <쌀의 노래>를 기획한 ‘길가는밴드’의 리더 장현호 씨를 만났습니다. 2012년 7월의 인터뷰와, 2014년 3월의 인터뷰를 공개합니다.
IVF 전국 리더 대회에서 공연 전에 만난 길가는밴드 장현호 리더
Q: 자기소개를 부탁합니다.
A: 안녕하세요, 길가는밴드 리더 장현호입니다. 코드셋과 부흥한국에서는 베이스 기타를 잡고 있습니다.
Q: 7월 15일에 <쌀의 노래> 콘서트를 기획하셨는데, 어떤 행사인지, 그리고 기획 의도가 무엇인지 알고 싶어요.
A : 네, <쌀의 노래>라는, 북한에 쌀을 보내는 후원 콘서트를 준비했어요. 코드셋 리더인 김성한 IVF 간사님이 이런 말씀을 했어요. 평화(平和)라는 단어는 ‘평등할 평’ 자에 ‘화할 화’ 자를 쓰고 있어요. 그리고 ‘화할 화(和’) 자는 ‘벼 화(禾)’ 자에 ‘입 구(口)’ 자를 합친 한문이죠. 그래서 ‘모든 사람의 입에 곡식을 공평하게 넣어주는 것이 평화’라고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쌀의 노래> 후원 콘서트는 연길에서 10년 간 아무런 후원이나 도움 없이 북한을 오가면서 북한 주민에게 직접 쌀을 전해주는 조선족 할머니 전도사님을 만난 일이 계기가 됐어요. 그 할머니에게 대한민국에도 젊은 청년들이 통일을 꿈꾸고 있고, 통일에 대한 마음을 가지고 있고, 또 앞으로 어떻게 통일을 준비할 것인가 하고 고민하는 청년들을 소개해주고 싶었어요. 그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는 분을 소개하면서 서로에게 격려를 주고받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콘서트를 준비하였습니다.
1회 <쌀의 노래> 콘서트 현장에서 만난 코드셋 리더 김성한 IVF 간사
Q : 콘서트를 통해서 기대하는 바가 있다면요?
A : 어른 세대들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들, 특히 남한에 있는 많은 청년들과 대학생들이 통일에의 꿈을 갖고 행동하는 것을 소개하고 또한 격려해드리고 싶어요. 그리고 청년들에게는 실질적으로 북한에 들어가서 주민들을 도울 수 있는 활동들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습니다. 지금 남북 관계가 경직되어 힘들고 어려운 상황이지만, 대한민국 사람도 아닌 조선족의 정체성을 가지고 계신 분께서 북한 주민들을 같은 민족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활동하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요. 그리고 길가는밴드와 코드셋이 음악으로 활동하는데, 이런 자리에서 함께 노래하고 화합하는 시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쌀의 노래' 가사
모든 사람의 입에 곡식을 공평하게 넣어주는 것이 평화
평화가 필요하다는 소식을 듣고 쌀을 팔아 그곳으로 달려갔지만 부끄러워 문밖에 두고 나왔는데
밥을 지어주고 싶구나
아이와 어른이 모두 한상에 모여 웃고 떠들며 둘러앉아 하얀 쌀밥을 나누면서 하는말 이제 우린 한 가족이구나
쌀의 노래
평화 평화
'We're Gonna Dance in the DMZ' 가사
우린 달라 너무 달라
형제라기엔 너무 달라
우린 달라 색이 달라
형제라기엔 너무 달라
옷은 누가 입혔을까
색은 누가 물들였을까
옷은 누가 입혔을까
색은 누가 물들였을까
남쪽은 파랑색으로
북쪽은 빨강색으로
내 형제와 난 당해보지 못한
나쁜 놈의 색칠놀이
여름엔 푸른 녹색 빛으로
겨울엔 하얀 눈빛으로
어느 것에도 물들지 않은
한민족의 땅 DMZ
그곳에서 함께 춤추리
그곳에서 얼싸 안으리
그곳에서 눈물 흘리리
이제야 만난 내 형제와
We're gonna dance in the DMZ
1회 콘서트에는 탈북민 출신의 오테레사 선교사(New Korea Builders 대표) 등 다양한 사람들이 공연에 참여했습니다. 그중 <IVF 전국 리더 대회>의 한반도 평화 포럼에 참석했던 싱가포르의 가브리엘 쟝(FES)은 이런 소감을 남겼습니다.
1회 <쌀의 노래> 콘서트 현장에서 만난 싱가포르의 Gabriel Jiang(FES)
"아주 새롭고 혁신적이에요. 전에는 이와 같은 공연을 본 적이 없어요. 음악만 있는 게 아니라 통일을 지원하는 목적이 있는 거잖아요. 제게 북한의 상황을 인식하도록 도움을 줬고, 북한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무엇을 도울 수 있는지 알게 해주었습니다."
길가는밴드의 <쌀의 노래> 콘서트 포스터 및 기타 통일 공연 포스터 모음
이후 길가는밴드는 <쌀의 노래> 콘서트를 정기적으로 개최했으며,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저녁에 홍대입구역 근처 산책N잇다에서 공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연에 참가한 사람들이 낸 돈은 쌀로 바꾸어 북중 접경 지역에서 활동하는 분을 거쳐 북한 주민에게 직접 전달하거나, 대한민국에 정착한 탈북민을 지원하거나,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연탄나눔운동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매 공연마다 탈북민이나 통일 운동가를 초청하여 토크쇼도 진행하여, 사람들에게 북한과 통일에 관한 관심을 일으키고 고민거리를 던져주고 있습니다. 길가는밴드는 <쌀의 노래> 콘서트 외에도 평화와 통일을 바라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갑니다. 임진각 평화누리에서 공연을 하기도 했습니다. 아래는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촬영장에서 'We're Gonna Dance in the DMZ'를 부른 로드 뮤비 형식의 영상입니다.
올해 다시 접한 장현호 리더는 지난 시간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습니다.
Q. <쌀의 노래> 콘서트를 1년 반 넘게 하셨는데 소감이나 술회가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A. 저희가 멈추지 않고 계속할 수 있었던 게 가장 감사한 일이에요. 준비하면서 통일이나 통일 한반도에 대한 마음이 점점 더 불어나고 간절해지고요. 그래서 준비하는 사람들이 더 좋은 것 같아요. 올해부터는 <쌀의 노래> 콘서트를 탈북민닷컴하고 같이 할 수 있어서 고무적입니다.
Q. 계속 할 수 있었던 동력이라든가 함께 도와주신 분들이 있다면요?
A. 산책N잇다에서 계속 장소를 제공해주셔서 굉장히 큰 힘이 됩니다. 함께 하는 멤버들, 또 공연에 와주시는 분들이 제일 큰 동력이고요. 아직까지 한반도 정세나 여러 상황이 좋지 않지만, 통일되는 그 날이 와야 한다는 간절함이 <쌀의 노래>를 끊이지 않고 할 수 있는 동력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자님도 계속 관심 가져 주시고요.
Q. 참, 얼마 전에 이산가족 상봉이 있었잖아요? 그 현장에서 공연하면 어땠을까 해요.
A. 그렇죠. 계속 꿈꾸고 있어요. 그런 현장이나 DMZ 공연, 나아가 평양 등 북한에 가서도 노래하는 것을요. 탈북민 친구들하고는 그런 꿈을 계속 나누고 있어요.
Q. 탈북민닷컴하고는 어떻게 연결이 되었고, 앞으로의 계획이나 방향성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A. <쌀의 노래>에서 탈북민닷컴 강디모데(『연어의 꿈』 저자) 운영팀장을 이야기 손님으로 불렀던 적이 있어요. 강 팀장과 교류를 이어가다가, <쌀의 노래>를 같이 준비하면 어떠냐는 제의를 해서 흔쾌히 응했습니다. 그동안 혼자 준비하는 게 쉽지 않았었거든요.
앞으로도 기존에 <쌀의 노래>에서 했던 것처럼, 북한 주민을 돕는 것도 돕는 것에 더하여 남한 사람들에게 통일에 관한 마음을 심어주고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 방향이에요. 탈북민들과 함께 어떤 일들을 이뤄가는 게 큰 방향성 중 하나였는데, 탈북민닷컴하고 함께 함으로써 탈북민들을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고, 그들의 이야기를 더 자세히 들을 수 있어서 좋아요.
<관련 링크>
· 기사: 평화는 '쌀의 노래'를 타고 - 길가는 밴드의 북한 후원 콘서트 현장 르포(http://blog.unikorea.go.kr/3230, 통일부 상생기자단 4기 최수지 기자, 5기 정찬형 기자)
· 길가는밴드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gilband
· 코드셋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code3code3
· 부흥한국 홈페이지: http://revivalkorea.org/
· 부흥한국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revivalkorea
· 카페바인 홈페이지: http://www.cafevine.kr/shop/main/index.php
· 카페바인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cafevine
· IVF 홈페이지: http://www.ivf.or.kr/
· IVP 홈페이지: http://www.ivp.co.kr/
· 산책N잇다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ivpneatda
· 싱가포르 FES 홈페이지: http://fessingapore.org/contact
· <쌀의 노래> 2013 마지막 콘서트 페이스북 이벤트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events/265660953586990/
· United Korea 4 The World 블로그: http://blog.naver.com/uk4world
· United Korea 4 the World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UnitedKorea4theWorld
·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연탄나눔운동 홈페이지: http://www.lovecoal.org/
· P 택시 프로젝트 DMZ: http://www.youtube.com/watch?v=esMVfht8DWY&feature=youtu.
· 탈북민닷컴 홈페이지: http://www.talbukmin.com/
· 탈북민닷컴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Timjcnk
(파란 글씨를 클릭하거나 터치하시면 해당 주소로 이동합니다)
(인터뷰이의 의견과 기자의 의견은 다를 수 있습니다)
(기사 도움: 배보경, 인하대학교 영어교육과)
(가사 제공: 장현호 / 교열: 박종찬)
'통일 미래 길잡이 > 현장과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회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 (1) (0) | 2014.04.09 |
---|---|
북한이탈학생들에게 도움을! 우양재단을 소개합니다. (0) | 2014.04.09 |
제13기 대학생 북한 전문가 아카데미 ③ 남북문제, 어떻게 풀어가야 하나 (0) | 2014.04.08 |
'세계 어린이 평화의 날' 그 현장 속으로~ (0) | 2014.04.07 |
'북한의 선택과 한반도의 미래' -천영우 前 외교안보수석 강연 (0) | 2014.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