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A Movie in Review: “Comrade Kim Goes Flying” (영화 리뷰: ‘김동무는 하늘을 난다’ )

The Pyongyang Film Festival finished up at the end of September. Among its selections was the film “Comrade Kim Goes Flying”, a joint project between Belgian, British, and North Korean film companies. It is unusual for international filmmakers to gain access to North Korea to make a movie, but a collaboration such as this one, filmed inside North Korea with an entirely North Korean cast, is especially noteworthy.

The film was directed by Nick Bonner, who has considerable experience with North Korea as the leader of Koryo Group, a tourism agency based in Beijing that has offered cultural visits to North Korea since 1993. According to Danwei, the Koryo Group’s genesis was when Bonner played soccer with the British Embassy team in the early nineties; he got to know a North Korean teammate and by 1993 the company was up and running its first tour inside North Korea.

Since then, Bonner has become one of the most notable Westerners engaged with North Korea; in addition to running regular tours, his company also sponsors the Pyongya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Bonner has completed four documentaries about the DPRK. The first one covered the 1996 World Cup team (“The Games of their Lives”, 2002); the second, the training of two young Pyongyang athletes for the Arirang Mass Games (“A State of Mind”, 2004); the third, a US army soldier who defected from South to North Korea (“Crossing the Line”, 2006).  “Comrade Kim Goes Flying” is Bonner’s fourth film.

I watched “A State of Mind” a few years ago and loved it; it was a quiet, insightful, and objective perspective on the small details of lives of two girls in North Korea. I highly recommend it.

Given this fact, I’m excited to watch Bonner’s newest film, though it seems very different from his earlier productions. First, Bonner co-produced this newest film, “Comrade Kim Goes Flying,” with Anja Daelemans, a filmmaker from Belgium. She had screened a film at the Pyongyang Film Festival in 2002, where she met Bonner; he told her his idea about a coal-mining girl becoming a trapeze artist, and they decided to collaborate on the film.

But the most notable aspect of the movie’s production is the third foot of the movie’s filmmaking tripod. The film was produced in clos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n writers, directors, and actors. It was filmed entirely in North Korea, with a North Korean cast. Filmmaker Kim Gwang-hun was the principal director, and Ryom Mi-hua co-produced. So everything Bonner and Daelemans wanted to do had to get a stamp of approval from the North Korean government.

Bonner has mentioned in a 2009 interview that his goal is engagement—of Westerners and North Koreans alike. He notes, “A local in New York knows about as much about North Korea as a North Korean in Pyongyang knows about New York. There is a great lack of information which allows one-sided views to remain unquestioned.”

This story is about bridging that gap: the collaborative aspect of its production brings North Korean filmmaking to a Western audience as it also brings a Western style of filmmaking to North Korean audiences at the Pyongyang Film Festival.

The film’s plot centers around a coal-miner trying to realize her dream of becoming a trapeze artist. A film focusing on individual self-determinism is new for North Korea; most North Korean films follow relatively narrow themes of ideological education. In an article in the New York Times, Bonner describes how he pushed the writers and actors away from conventional ideological lines toward more universal human emotions; they sought to “access a part of the world we all have in common—dreams, laughter, romance”.

The final portrait of North Korean life that the film presents is admittedly unrepresentative of ordinary life in the country; some reviews harp on that, but how representative of ordinary American life are most of Hollywood’s films? Bonner emphasized that his goal was never to provide an insider’s view of North Korea. The goal, he said, was simple entertainment; the film is just “a girl-power fairy tale about dreaming to fly.”

“Comrade Kim Goes Flying” premiered at the Toronto film festival, then hit Pyongyang, and was recently shown in October at South Korea’s Busan film festival. It’s remarkable for a film from North Korea to make it to South Korean audiences. “All we ever wanted,” Bonner said, “was for Korean audiences to see the film on both sides of the border and be entertained.”


영화 리뷰: ‘김동무는 하늘을 난다’ 

평양국제영화축전이 지난 9월 하순 막을 내렸습니다. 출품작 가운데 벨기에와 영국, 북한 영화제작사들이 공동 제작한 ‘김동무는 하늘을 난다’란 영화가 있었습니다. 해외 제작사들이 영화제작을 위해 북한에 들어가는 게 이례적이긴 하지만, 순수 북한 배역진만으로 북한에서 촬영한 이런 식의 공동작업은 분명 가치 있는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는 지난 1993년부터 북한에서 문화관광사업을 진행해 온 고려여행사를 중국 베이징에서 운영, 북한통으로 알려진 닉 보너가 제작했습니다.  중국언론 및 인터넷 관련 리서치회사인 단웨이에 따르면, 고려그룹은 보너가 지난 90년대초 영국대사관팀과 축구경기를 하면서 태동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그가 북한 동료를 알게 되었고 1993년에 회사를 설립한 뒤 북한 관광사업을 처음으로 시작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후, 보너는 북한과 사업을 벌이는 가장 저명한 서방인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가 관광 사업이외에 평양국제영화축전을 후원하는 한편, 4편의 북한관련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첫 작품은 1996년 월드컵팀을 다룬 2002년작 ‘삶의 경기들’이었고 두 번째는 아리랑 마스게임을 위한 두 명의 어린 선수들의  훈련과정을 담은 2004년작 ‘마음의 상태’였으며 세 번째와 네 번째는 각각 한국에서 북한으로 망명한 미군이야기인 2006년작 ‘군사분계선을 넘어’와 ‘김동무는 하늘을 난다’ 입니다.

필자는 몇 년 전 ‘마음의 상태’를 관람했는데 너무 좋았습니다.  북한 두 소녀의 상세한 생활 모습을 차분하면서도 통찰력 있게 객관적인 시각으로 그린 영화였습니다. 독자 여러분들께 강력히 추천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필자는 비록 초기 작품들과 많이 달라 보이긴 하지만 보너의 최신작이 기대됐습니다.  먼저, 보너는 벨기에 출신 영화제작자인 안쟈 델르망과 ‘김동무는 하늘을 난다’를 공동 제작했습니다. 델르망은 지난 2002년 평양영화축전에 영화를 출품시켰는데, 그 당시 보너를 처음 만났습니다.  그 때 보너가 그녀에게 공중곡예사가 되는 광부소녀 이야기를 꺼냈고 두 사람은 뒷날 합작 영화를 만들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영화 제작과 관련해 가장 주목할만한 부분은 영화제작의 3박자 가운데 나머지 한 부분입니다.  이 영화는 북한의 작가와 감독, 배우들의 긴밀한 협조 속에 제작되었습니다. 촬영도 북한 배역진과 북한 현지 로케이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김광훈 감독이 대표 감독이었고 렴미화가 공동제작에 나섰습니다.  또한 보너와 델르망이 원하는 모든 것들은 북한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했습니다.

보너는 지난 2009년 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목표가 서방사람들과 북한 사람들을 똑같이 만족시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뉴욕에 사는 사람은 평양에 사는 사람이 뉴욕에 대해 알고 있는 만큼 북한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정보 부족이 엄청나서 일방적인 시각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 상황”고 덧붙였습니다.

영화는  그 차이를 줄여 나가는 것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공동 제작으로 인해 북한의 영화가 서구 관객들에게 다가가는 한편, 평양영화축전을 통해 서구 영화가 북한 관객들에게 선을 보이게 됩니다.

구성은  광산에서 일하는 소녀가 공중곡예사가 되려는 꿈을  이뤄가는 과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개인의 자기결정에 중점을 둔 영화는 북한 입장에서는 생소한 분야입니다. 대다수 북한 영화는 이데올로기 교육이라는 상대적으로 한정된 주제만을 다뤄왔기 때문입니다. 보너는 뉴욕 타임즈와의 회견에서 작가와 배우들에게 전통적인 이데올로기 관점에서 벗어나 보다 보편적인 인간의 정서에 주목할 것을 당부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들이 “꿈과 웃음, 낭만이라는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세계의 일부분에 접근하려 노력했다”는 게 보너의 설명입니다.

영화 속 북한 사람의 생활 모습은 분명 북한 일반인의 생활상과는 다릅니다. 일부 비평가들이 그 부분을 계속 지적합니다만, 대부분의 할리우드 영화가 평범한 미국인들의 생활상을 얼마나 반영할까요? 보너는 자신의 목표가 절대로 내부자의 시각으로 북한을 바라보는 게 아니라고 강조합니다. 자신의 목표는 단지 엔터테인먼트라고 덧붙이면서. 다시 말해 이 영화는  단지 “하늘을 나는 꿈을 꾸는 자주적인 소녀의 성공스토리”라는  것입니다.

‘김동무는 하늘을 난다’는 토론토영화제에서 첫 선을 보인 뒤 평양에서 큰 인기를 끌었고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서도  출품되었습니다. 북한 영화가 한국 관객들 앞에서 상영되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보너는 “남북한 관객들이 군사분계선 양쪽 모두에서 영화를 관람하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정말로 기대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