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우리는 아주 뜻깊은 한 사람을 만났다. 탈북자 북송반대를 위해 단식 중인 박선영 자유선진당 국회의원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 서울 종로구 효자동 옥인교회 앞에서 단식 중인 박선영 자유선진당 국회의원
▲ 상생기자단 지혜연 기자(좌)와 박선영 의원(우)
박선영 의원 (이하 박) 목이 좀 많이 부었지만 어느정돈 괜찮은 것 같다.
지) 오늘 외통위에서 국회 결의안을 받은 걸로 알고 있다. 국회 내 분위기는 어떠한가?
박) 출석이 너무 저조했다. 국회의원들이 시간이 지나도 안 나오니 의결 정족 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29명 중에 15명이 안 됐다. 꼭 참석해 달라고 부탁드렸는데, 차질이 빚어져서 안타까울 뿐이다.
지) 현 정부들어서 탈북자에 대한 관심이 적어진 것은 아닌가?
박) 이전에 비해서는 많이 나아진 것이다. 이전에는 탈북자를 받지 않으려고도 했었다. 때문에 지난 10여 년 간, 우리 국민들도 탈북자에 대해 관심이 많이 줄었다.
그나마 현 정부는 기존에 비해 적극적인 편이다. 현 정부도 100% 만족스럽지 못하긴 하지만, 탈북자에 관해 관심을 많이 기울이려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정부는 탈북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 차량에 붙여진 탈북자 북송반대 피켓들
▲ 또 다른 피켓들
또한 단식하는 사람은 박의원 뿐만이 아니었다. 탈북자 출신 여성박사 1호인 이애란 박사와 북한인권시민연합 박현 이사 또한 각각 단식 2, 3일째에 돌입하고 있었다.
▲ 지나가는 시민과 아이 박 의원을 응원하고 있다.
지) 통일부/외교통상부가 탈북자 북송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박) 탈북자 문제는 남북관계나 한중관계서 바라보기보다 국제법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 난민협약, 국제법을 지키라고 요구하는 데에 우리나라가 요구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다른 나라들도 함께 요구할 수 있도록 외교적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지) 국민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박) 요즘 사회 전반적으로 다들 힘들 것이다. 하지만 힘들수록 우리의 손길이 가장 필요한 곳을 잊으면 안 된다. 힘들고 바쁜 상황에서도 주변을 보살필 수 있는 여유를 가져야 한다.
▲ 주한중국대사관 전경
이 자유로움에서 오는 일상생활의 소중함을, 그 동안 못 느꼈던 것 같아 집을 향하는 내내 발걸음이 무거웠다. 너무나 당연했던 이 자유가, 하루 빨리 저 북녘에 있는 동포들에게도 오길 간절히 소망해본다.
'통일 미래 길잡이 > 현장과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북자 강제 북송을 막기위한 콘서트 <Cry with us>를 가다 (0) | 2012.03.07 |
---|---|
평범한 인도사람들은 북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0) | 2012.03.03 |
시진핑 체제 이후 예상되는 한반도 변화는? (0) | 2012.02.28 |
강릉통일공원을 가다! (0) | 2012.02.23 |
[현장취재] 김정은 체제 이후 개성공단의 현황과 과제 (0) | 201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