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 미래 길잡이/통일로 가는 길

대한민국 국민이 되었습니다. 시작의 그 곳 하나원

대한민국 국민이 되었습니다!

의 그 곳, ''

 

 

 

  얼마 전 77일에는 강원도 화천에서 2하나원 착공식이 열렸습니다. 그 자리에 9:1의 경쟁률을 빛의 속도로 뚫고 운좋게 다섯명의 상생기자단이 참여할 수 있었는데요, 앞서 올라온 고병선, 신혜민, 윤희연 기자의 기사 http://blog.daum.net/mounification/8768777 에서 생생한 현장의 모습을 전해 드릴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제2하나원에 앞서 하나원은 어떤 존재일까요?

 북한 이탈 주민 정착 지원 사무소 즉 하나원을 한 문장으로 정의해 본다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그리고 통일 미래를 준비하기 위하여 북한 이탈 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도와주는 곳입니다. 국내에 입국한 북한 주민이 북한이탈주민으로 판명되면 국정원, 기무사, 경찰 등 합동 신문조의 조사기간을 거쳐 맨 처음 하나원에서 일정 기간 기초적인 사회 적응 교육을 받게 됩니다. 사회주의 사회에서 평생을 살다 온 이들에 대해 자본주의 사회로의 원활한 정착을 위한 교육은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경기도 안성시 소재 하나원    * 출처 : 연합뉴스

 

 

  하나원교육 기획과, 교육 훈련 1과, 교육 훈련 2과, 관리 후생과와 같이 4개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육 기획과에서는 보호 대상자의 사회 적응 교육, 직업 훈련에 대한 기본 계획 수립과 조정, 북한 이탈주민의 정착 실태 조사와 분석, 주택 배정 그리고 정착 지원금 지급과 같은 업무를 수행합니다. 교육 훈련 1과에서는 보호 대상자의 사회 적응 교육, 직업 훈련에 대한 세부 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생활 지도나 취업, 심리 상담 등을 진행합니다. 교육 훈련 2과에서는 양주 분원에 있는 남성 보호 대상자의 사회 적응 훈련, 생활지도, 상담등을 주로 담당하며 관리 후생과에서는 교육생의 의료 관리나 하나원 내의 행정적인 부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출처 : 통일부 홈페이지 http://www.unikorea.go.kr/CmsWeb/viewPage.req?idx=PG0000000437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20111월 입국자 기준으로 우리 사회로의 북한 이탈 주민의 입국 규모를 살펴보면, 1998년 이후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결과에 대해 남녀 성비에 초점을 맞추어 본다면, 2002년 이후 여성 입국자 비율이 남성 입국자 비율보다 더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통일부 홈페이지 자료마당 http://www.unikorea.go.kr/CmsWeb/viewPage.reg?idx=PG0000000365

 

 

  이처럼 입국해오는 북한 이탈주민의 수가 계속 급증함에 따라 정부는 이들을 보호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1997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법률에 근거하여 하나원은 199978일에 개원했습니다. 처음의 하나원15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였지만 계속되는 북한의 경제난으로 인해 탈북자가 증가하고 국내 입국 인원의 증가로 말미암아 2003년과 20082번의 증축이 시행되었고 2009년에는 양주분원을 개소하게 되었습니다.

 

 '재사회화'적 기능이 강조되는 이곳,  하나원의 교육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요?

하나원의 교육은 12주, 총 420시간으로 이루어집니다.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정규 과정이, 주말에는 문화 활동이나 직종별 취업 설명회가 진행됩니다. 즉, 이론교육과 함께 실용적 기능 교육이 병행되고 있는 시스템입니다. 크게 4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요, 북한 이탈 주민이 정착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취업'을 목표로 하는 진로지도 및 직업훈련이 가장 많은 시간인 193시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노동부와 공동으로 시행하는 위의 교육 과정은 교육생이 본인의 적성검사 결과에서 드러나는 한가지 직종을 선택해 하나원 수료 이후 즉시 취업 현장에 나갈 수 있게끔 만드는 밑거름이 되고 있습니다.

 



출처 : 통일부 통일백서 2010

 

  이어 130시간을 차지하는 우리 사회의 이해증진 교육은, 민주주의 이념과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로 운용되는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입니다. 2010년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지가 167개국의 민주주의 상태를 조사하여 작성한 지수인 '민주주의 지수'에서 북한은 10점 만점에 1.08점을 얻으며 가장 낮은 등수인 167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불명예스러운 세계 최악의 권위주의 독재 체제하에서 입국하기 전까지 '평생'을 지내 온 북한 이탈 주민이 국민 개개인이 주권을 가지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의 역량을 발휘하려면 이에 대한 학습이 필수적입니다.

 

   더불어, 하나원모든 재화가 국유화되어 있는, 지금은 그 의미가 많이 퇴화 된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 체제와 달리 모든 재화의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므로 이익 추구를 위해 생산활동을 하는  우리의 시장경제 체제에 대한 기본 원리, 현실에서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경제적 개념에 대해서도 가르치고 있습니다. 돈에 대한 개념이 우리와는 다르므로 초기에 간혹 몇몇의 북한 이탈주민들은 주어진 돈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의 방법을 두고 우왕좌왕 하는 경향이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교육에서는 사고 싶은 물건을 직접 구매하는 현장 실습 교육도 이루어집니다.

 

출처 : 통일부 통일백서 2010

 

  오랜 기간 식량난을 겪으며 힘든 탈북의 과정을 거치고 입국했기에 새로운 환경에서 혼란과 불안감을 느낄 북한 이탈 주민에 대한 건강 관리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입니다. 이를 위해 하나원에서는 심리상담실 및 「하나의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하나원은 정서 안정을 통해 사회, 경제적인 자립 동기를 부여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그들이 건전한 시민으로서 뿌리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하나원은 또한 성별이나 연령대별에 따른 맞춤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안성 본원에서는 여성 특화교육이, 양주 분원에서는 남성 특화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청소년은 하나원 내부의 '하나둘 학교'를 통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보다 더 어린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들은 가까운 초등학교와의 교류를 통해 정규 학교 생활을 체험합니다.

 

▲하나원의 어린이들 

출처 : 통일부 flickr http://www.flickr.com/photos/uni_kr/5692174677/in/photostream

 

 

 

  위에서 언급한 정규 프로그램을 모두 이수하면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북한 이탈 주민은 하나원을 나와 사회의 첫발을 내딛기 위한 정착 지원금, 주택 지원 그리고 사회 보장 지원 등과 같은 복지적인 지원  또한 정부에서 받게 됩니다. 이후 추첨에 따라 각 지방으로 옮겨가게 되는 탈북자들은 전국 각지의 하나센터에서 담당합니다. 하나센터는 현재 북한 이탈 주민의 지역 사회 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지자체와 복지기관등의 협의를 통해 모든 분야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출처 : 경기 중부 하나센터 http://hana-ggjb.kr/main/sub.html?pageCode=9

 

 

 

  하나원 개원 이후 2010년 6월까지 총 1만 7,000여명이 하나원을 거쳐 갔다고 합니다. 지난 12년 동안 하나원 교육 과정은 시행착오를 겪어 오면서도 꾸준하게 지금까지 발전해 왔습니다. 앞으로 예상치 못하게 북한 급변 사태가 일어나면 북한 이탈 주민 입국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입니다. 이럴 때 하나원과 같은 기관이 없다면 우리는 통일에 앞서 큰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취지에서 우리는 제2하나원의 필요성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북한 이탈 주민에게 있어 학습으로 이루어지는 위와 같은 교육이 우리 사회의 적응을 100%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결국, 외로운 그들이 이 땅에서 뿌리를 단단히 내리기 위해서는 사람 사이의 진정한 관계와 우리의 따뜻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는 탈북자에 대한 편견이 작용하여 그들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통일 대한민국을 위해서는 정치적, 경제적 요소와 같은 물리적 통합도 중요하지만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통합도 중요합니다. 이 점을 되새겨 본다면 우리는 진정한 통일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 통일부 통일백서 2010,

           대한민국 정책포털 '공감 코리아' http://www.korea.kr 연재기사 '북한이탈주민 우리사회에서 뿌리내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