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Part 3 of 3 on Outside Media in North Korea (북한에서의 외부 미디어 제3부)

A diagram from InterMedia shows the pyramid structure of the outside media environment in North Korea. Photo credit InterMedia.

In posts (hyperlink to Part 1) 1 and (hyperlink to part 2) 2 of this series on outside media in North Korea we saw all sorts of accounts from defectors about the procurement, consumption, and utility of outside media in North Korea.

Now it’s time for a conclusion.

What effect does all of this foreign media have on North Koreans? We’ve seen already that it can affect the way they run their businesses, the way they fill their free time, and even the way they speak. It also affects the way they think, although proponents of sending material specifically targeted at North Koreans should be aware that it might not have the same effect as, say, South Korean TV dramas. The study’s authors cite defectors who were appreciative of the lack of overt messages or careful selection of subjects in dramas, and note that “North Koreans are well-practiced consumers of heavy-handed propaganda and the absence of such propaganda in South Korean dramas increases their credibility in the minds of many North Korean viewers.” In other words, North Koreans aren’t that easy to fool; they are used to propaganda, and rather than brainwashing them, it has made them sophisticated and world-wise.

What do we conclude from this? First, we see a strengthening of horizontal bonds between North Korean’s citizens and a corresponding weakening of the top-down monopoly on information flow. The growth of trust between citizens is undeniably positive.

Second, increased exposure to outside media seems to increase positive beliefs about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words of one defector (though his circle of acquaintances might not be representative of the population at large): “Everyone thinks highly of South Korea.” This can only help the cause of unification with South Korea and harmonization with the world at large. 

One of the most telling changes in belief is the use of sarcasm. North Korea’s well-known official government position on the U.S. is that it is the source of most of the problems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ast, citizens all agreed. Now, though, according to a defector in February 2010, people in North Korea “[would] comment sarcastically, ‘Blame it on the U.S.!’ when things were going wrong.” It seems similar to the old standby “the dog ate my homework”—it is only funny because it is patently untrue.

There are strong changes afoot in North Korea; this quiet groundswell of available, relevant information bodes well for the future of peaceful unification on the peninsula.

The report itself makes great reading for anyone interested; it is beautifully written, clear, and contains much more quantitative analysis than I’ve included here. Their summary forms a great conclusion for our series:

“Outside information and the activities North Koreans engage in to access it also are fostering the creation of horizontal connections between North Korean citizens. These horizontal bonds, facilitated by shared implication in prohibited behaviors, economic interactions, or simply curiosity about the outside world, and created outside the watch of the state, are a breeding ground for ideas that go beyond or run counter to the regime’s espoused reality. In these most nascent seeds of civil society lies the potential for continued change on the ground level in the lives of ordinary North Koreans.”

You can also read more here: 

http://blogs.cfr.org/asia/2012/05/14/information-penetration-and-north-korean-regime-survival/

http://view.koreaherald.com/kh/view.php?ud=20120620000862&cpv=0


북한에서의 외부 미디어 제3부

북한의 외부 미디어 1부와 2부에서는 탈북민들로부터 들은 북한에서의 외부미디어 획득, 사용, 효용 등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살펴 보았다.

이제 결론을 맺겠다. 

모든 외국의 미디어는 북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우리는 2부에서 외부 미디어를 통해 그들의 사업을 운영하는 방법, 그들의 자유시간을 보내는 방법, 그리고 심지어 그들이 말하는 방법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대해 살펴봤다. 비록 북한 주민들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미디어는 한국의 드라마와 똑같은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이 모든 것은 분명 그들의 생각에 영향을 미친다. 인터미디어의 연구 결과 중 외부 미디어를 시청하는 북한 주민들은 미디어 내용이 그들을 겨냥한 직접적인 내용이 없어서 더 즐겁게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북한 주민들은 직설적인 선전에 익숙하다. 그러니 그런 내용이 없는 한국 드라마에 더 신뢰감이 간단다. 다른 말로 하면 북한 사람들은 쉽게 속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선전이 익숙하다. 하지만 한국 드라마나 영화는 그들을 세뇌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세상을 조금 더 잘 알 수 있게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것으로 어떤 결론을 낼 수 있을까? 첫째, 우리는 북한 주민들 사이에 유대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고 또한 정보 흐름을 독점하던 하향식 방식이 무너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서로 신뢰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매우 긍정적이다. 

 둘째, 북한 주민들이 외부미디어에 많이 노출될수록 한국과 미국에 대한 긍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한 탈북민에 의하면 북한 사람들은 한국을 높게 평가한다. 외부 미디어는 한국과의 통일, 세계와 연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일 큰 변화는 풍자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북한 정권의 공식적인 입장은 미국이 한반도 문제 대부분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과거에는 시민들 모두가 동의했다. 그러나 지금 2010년 2월에 탈북한 사람들에 따르면 북한 사람들은 무슨 일이 잘못 되었을 때 “미국 탓이겠지!”와 같은 말로 풍자한다고 한다. 그것을 마치 “강아지가 숙제를 먹었어요”라고 말도 안 되는 변명을 하는 것과도 같다. 그것은 말도 안 되는 말이기 때문에 우스운 것이다.

북한에는 큰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다. 유용하고, 밀접한 정보는 미래에 한반도 평화 통일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보고서는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좋은 읽을거리가 될 것이다. 정말 잘 쓰여졌고 내가 여기서 이야기한 것보다 더 많은 정교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다

“외부 정보와 그것을 소유하기 위한 활동들은 북한 사람들 사이에 수평적 연결 고리를 만든다. 경제적 상호작용, 외부에 대한 궁금증, 그리고 금지된 행각을 같이 함으로써 유대는 정부에서 권하는 현실에 도전장을 내밀게 한다. 시민 사회를 세우기 위한 이러한 기초는 북한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지속적인 변화를 가능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