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Escape Art and Propaganda: Part II (미술과 선전사이 2부)

Continuing my first article on the pop art by Song Byeok, a former party member and propaganda artis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is article takes a look into one of Song’s notable pieces to explore his relationship to his former homeland and the ideas that one can glean from the image “Flower Children.”



Looking at the image of “Flower Children,” the young girls stand in their school uniform either waving excitedly or smiling at the audience despite the holes in their shoes symbolizing their poverty. Moreover, all of their eyes are closed. Looking more closely at the faces of each individual child, though two or three appear genuinely ecstatic, the other girls have more faces – as they smile and accept or turn a blind eye to the way things are in North Korea, the people have grown weary as their circumstances have yet to change. Paul Ferguson also addresses this painting in his CNN article; Ferguson writes, “The girls in "Flower Children" are waving and posing for foreigners in the way they've been trained: brimming with confidence that they live in the world's greatest country. Song painted them with their eyes closed, blind to the reality of their poverty.” As mentioned in the first part of these articles about Song’s artwork, Song admits that his initial reasons for leaving North Korea temporarily, when his father was still living, revolved around the need for food and work; likewise, most other North Koreans also defect for similar reasons. 

As Ferguson iterates, the closed eyes and excited faces of the girls in this painting reflect the blind adoration of the North Korean people that Song feels he had been personally guilty of when he lived in North Korea. However, Ferguson’s comment alludes to the common opinion that the people of North Korea have been brainwashed by the regime. But I think that this painting once again points to the question of how much access people who liv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receive about the rest of the world. I agree that they learned a certain degree of patriotism that depends on a form of expression that includes the exaggerated happiness seen at the birthday celebrations of their “supreme leaders” and the extravagant tears recorded at the funeral of the late Kim Jong-Il. 

However, I think that in this age of nation-states and nationalism, people of every nation learn a certain set of standardized forms of expression that relay their love and loyalty for their country. As another exampl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 “saluted our allegiance to a flag,” and throughout college, groups of college boys would often stroll throughout campus chanting, “USA.” Nobody questions that form of patriotism, but why not? What makes the North Korean people’s expression of love for their nation any more subject to the scrutiny of others than that of American citizens? Is it because of the instability of the regime or the wrongs the regime has committed upon its people? When does one cross the line between a love for a nation that has been learned and one that has been chosen? 

As always I never seek to apologize or accept the injustices that have been acted upon the people of North Korea. I only hope that through my articles, I can convey the importance of bringing an open mind and heart to discussions of the situation and future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Perhaps the caption at the bottom of Song’s painting, “Our Prosperous Nation,” may receive warranted criticism for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in North Korea; but the two or three children who genuinely smile and feel pride in their nation (though blind) need to be met with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not the derisiveness that often greets the enthusiasm of a patriotic people.



미술과 선전 사이: 2부

북한에서 선전용 그림을 그리던 팝아트 작가 송벽에 대한 기사 미술과 선전 사이 1부에 이어서 이번 기사에서는 송 작가의 그림을 통해 그가 보는 북한과 그림 “꽃의 아이들”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몇 가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송벽 작가의 그림 “꽃의 아이들”에서는 교복을 입은 어린 여학생들이 가난을 나타내는 신발의 구멍에도 불구하고 웃으며 손을 흔들고 있다. 학생들의 눈은 모두 감겨있다. 각 학생의 얼굴을 더 자세히 보면 한 두 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의 표정은 어딘가 초췌해 보인다. 웃으며 북한에 현실 앞에서 눈을 감은 그림 속의 그들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처지 때문에 지쳐만 가는 북한 시민들의 심리를 보여준다. 퍼거슨 기자는 이 그림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그림 속에 아이들은 배운 대로 외국인 관광객들을 향해 북한이 최고의 나라라는 자신감을 안고 손을 흔들며 포즈를 취한다. 그들이 자신의 가난함을 못 보는 것을 표현하고자 송 작가는 학생들의 눈을 감은 채로 그린 것이다. 미술과 선전 사이 1부에서 말했듯이, 송 작가는 식량과 일자리를 찾기 위해 처음 중국으로 넘어갔었다. 많은 북한 주민들도 같은 이유로 북한을 떠난다.

퍼거슨 기자가 말하기를, 그림 속에서 눈을 감으며 웃고 있는 여학생들은 북한 시민들의 나라를 향한 눈먼 경배를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한 때는 송벽 작가도 이러했다. 퍼거슨의 이런 생각은 대중들이 북한을 떠올릴 때 시민들이 세뇌 당했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우리는 북한 시민들이 외부의 정보를 많이 접할 기회가 적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들이 김정일의 죽음 후 애도기간 중에 보인 과장된 애국심은 학습된 것이라고 생각은 한다. 

하지만 어느 나라의 시민이건 어느 정도의 애국심은 학습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자면 미국인 들은 초 중 고등학교를 다니며 국기에 대한 예를 지켜야 한다고 배운다. 아무도 이러한 애국심을 의심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왜 그런 걸까? 북한 사람들의 애국심은 왜 지적을 당하고 미국 사람들의 애국은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일까? 북한 정부의 불안정한 상태와 시민들에게 저지른 잘못 때문인 걸까? 배운 애국심과 선택한 애국심의 차이는 무엇일까? 

물론 북한 정부가 시민들에게 저지른 부당함을 받아들이거나 정당화할 마음은 전혀 없다. 북한과 그의 시민들을 이야기 할 때에 편견 없이 다가가는 것의 중요성을 나의 기사를 통해 알리고자 한다. 어쩌면 그림 밑에 쓰여 있는 “번영하는 내 나라”라는 말은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진심으로 애국심을 느끼며 웃고 있는 두 세 명의 아이들에게는 비난 대신 이해심을 가지고 다가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