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Fear, Miscommunication, and the Folk Hero Nasreddin Hoca

Jay Mcnair (Davidson college)

Overseas Correspondent



A statue of Nasreddin Hoca in Brussels (photo credit: tuhfe)



Ah, the charades of political dialogue! North Korea sends a memo urging unification and expressing its willingness to open immediate channels of dialogue with South Korea. The memo reads in part, “The resumption of dialogue and the improvement of relations hinge completely on the willingness of the South’s government.” Once the South gets its act together, in other words, the North is ready and willing to cooperate.


There are just a few small preconditions, we discover. Among them: withdrawal of US troops, apologizing for not showing proper respect toward Kim Jong Il’s death, apologizing for the false accusation of North Korean involvement in the March 2010 torpedo attacks on the Cheonan… the list demonstrates that any “dialogue” that the North might be willing to engage in would be one-sided. 


Of course, this message is an improvement from North Korea’s earlier absolute unwillingness to have any relations with the South while President Lee Myung Bak remained in office. Indeed, it might signal in a backhanded way a willingness to engage in dialogue, even if not all preconditions are met. 


But on the whole, it seems unlikely that the North will allow any attempt at the dialogue they claim to want. I do wonder if North Korea’s diplomats believe their memo to be clear and obvious. Maybe they actually feel wounded by the torpedo accusation (the action could have been taken by a rogue commander), wronged by the South’s attitude toward the death of their demigod, threatened by the hawkish permit of 30,000 US troops at their doorstep when all the North wants is a peaceful coexistence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Their own military activities seem hawkish, too; but maybe, like the South, they view it as a response to the fear of aggression from the other side. It is very difficult to get inside the minds of North Koreans, when their beliefs about the world contradict our own so powerfully.


Political relations are as imperfect as any other form of human interaction. Writer Elif Batuman explains the difficulty in her book The Possessed:


Walking along a deserted road one night, the story goes, [the folk hero] Nasreddin Hoca noticed a troop of horsemen riding toward him. Filled with terror that they might rob him or conscript him into the army, Nasreddin leaped over a nearby wall and found himself in a graveyard. The horsemen, who were in fact ordinary travelers, were interested by this behavior, so they rode up to the wall and looked over to see Hoca lying motionless on the ground.


"Can we help you?" the travelers asked. "What are you doing here?"


"Well," Nasreddin Hoca replied, "it's more complicated than you think. You see, I'm here because of you; and you're here because of me." …


This story encapsulates the riddle of free will in human history: a realm where, as Friedrich Engels observed, free wills are constantly obstructing one another so that, inevitably, "what emerges is something that no one willed." Nobody, least of all Nasreddin Hoca, willed for Nasreddin Hoca to end up lying in the graveyard that night. Nobody forced him there, either—yet there he was.


So true! It is always difficult to achieve one’s intentions, but never more so than when mutually legible communication is lacking. This is an apt illustration of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Nasreddin Hoca’s example, the two parties were not enemies, but fear led Hoca to act as if they were; I think fear plays a similar role for the Koreas.


The tiger is a kind of mythic symbol for Korea, a testament to its former presence on the peninsula. I’ve never seen a tiger in the wild, but I’ve seen them at the zoo before. A tiger is a powerful animal. It spends much of its time napping, and very rarely openly exhibits the power that it possesses; yet, watching it, I feel that every smallest movement is a betrayal of that immense power. I see the same dynamic in the relations of the Koreas, but not in the power that each possesses—instead the betrayal is of fear. Neither exhibits that fear for the world to see; but every action, even calls for dialogue, betrays its presence.



An Amur tiger (photo credit TimSträter)



As Nasreddin Hoca shows us, the confluence of wills can be a turbulent rapid taking both parties on a course neither intended. It will be especially difficult for the Koreas to achieve normal interaction when even the call to dialogue itself is blustering. I don’t know how to banish fear when it seems legitimate, but as long as each Korea is afraid of the other, it may cause both of them to end up—like Nasreddin Hoca—in a graveyard.





두려움, 오해, 그리고 동화 속 영웅 나서레딘 호자


 얼마 전 북한은 한국에 통일을 촉구하며 양국 간의 회담을 재개하자고 한국에게 권했다. 회담을 재개하고 두 나라의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오로지 한국 정부의 태도에 달려있다고 말하고 있다. 다른 말로 말하면 한국이 “정신을 차리면” 북한은 언제든지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더 자세히 읽으면 여러 전제 조건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중에는 미군의 철수, 김정일 죽음에 대해 조문하지 않은 것에 대한 사과, 그리고 천안함 포격사건을 북한의 행위로 돌린 점에 대한 사과가 있다. 이렇듯, 북한이 한국과 협력하기 위해서는 한국은 오로지 북한의 명령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명박 대통령의 재임 동안에는 한국과 절대로 협력하지 않겠다는 북한에 대한  이전 태도와 비교하면 이것은 큰 발전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이것은 모든 전제조건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뇌물로서 대화를 시작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 북한이 실제로 회담에 나설 확률은 적다고 본다. 그들의 의도가 훤히 보인다는 것을 북한은 알까? 천안함 사건으로 정말 기분이 상한 것일 수도 있다. 아니면 한국이 김정일의 죽음에 대해 조문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진정으로 부당함을 느낀다거나 또는 3만 명이 넘는 주한미군에 위협을 느끼는 것은 아닐까? 어쩌면 북한도 한국처럼 방어적인 이유로 군대를 우선하는 것은 아닐까? 많은 생각이 들지만 우리는 북한의 의도를 그리고 그들의 생각을 알 수는 없다. 그들은 세상을 보는 태도가 우리와 너무도 달라서 그들의 생각을 알 수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이해하는 것 또한 힘들 것이다. 


 그 어떠한 사회적 상호 작용도 완벽한 것은 없다. 정치적 관계도 마찬가지다. 소설가 Elif Batuman은 그녀의 책 “The Possessed"를 통해 이 어려움을 잘 설명한다.


이야기의 시작은 이러하다. 어느 늦은 밤 사람이 없는 거리를 걷다가 나서레딘 호자는 한 무리의 기수들이 그의 쪽으로 다가오는 것을 보았다. 그들에게서 강도를 당하거나 군으로 징집당할까 두려워 나서레딘은 재빨리 길 옆에 담을 뛰어 넘었다. 담을 넘으니 그곳은 공동묘지였다. 이 광경을 목격한 기수들은 사실은 그저 일반 여행자였을 뿐이다. 그들은 나서레딘의 행동이 신기해 그가 담을 뛰어 넘은 자리로 다가가 땅에 가만히 누워있는 나서레딘을 찾았다. 

“도와드릴까요?” 라고 기수들이 물었다. “ 거기서 뭐 하십니까?”


“그것이,” 나서레딘 호자가 대답을 하기 시작했다. “일이 생각보다 복잡하게 되었네요. 저는 그대들 때문에 여기에 누워있는 것이고 그대들은 나 때문에 거기에 있으니 말입니다.” ...


이 이야기는 인간의 자유 의지가 가져오는 수수깨끼를 잘 나타낸다. 모든 이         의 자유 의지가 서로 방해하면 결국 그 누구도 원치 않았던 상황에 도달하게 된다. 이야기 속의 인물들 중 그 누구도 원했던 상황은 아니었을 것이다. 특히나 나서레딘 호자는 원해서 공동묘지의 누웠던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 누구도 강요한 것도 아니지만 그는 결국 그 자리에 누워 있게 되었다.  


 너무나 맞는 말이다. 본인의 의도를 이루는 것은 안 그래도 힘든 것인데 상대방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없다면 더 힘들 수 밖에 없다. 한반도의 상황도 이렇다. 나서레딘 호자 이야기속의 인물들은 적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두려움이 나서레딘을 그렇게 행동하게 한 것이다. 어쩌면 한반도 내에서도 공포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호랑이는 한국에서 신화적인 상징이다. 야생 호랑이는 본적이 없지만 동물원에서는 본적이 있다. 호랑이는 강한 동물이다. 많은 시간을 잠을 자면서 보내고, 힘을 과시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호랑이를 보고 있으면 작은 움직임 하나에서도 그 어마어마한 힘을 볼 수 있다. 한반도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힘이 아니라 두려움이다. 두 나라 모두 세상이 볼 수 없게 그 두려움을 감추지만, 행동 하나하나에서 그 존재감을 볼 수 있다. 


 나서레딘 호자 동화를 통해 볼 수 있듯이, 나의 의지가 다른 이의 의지와 융합되면 그 누구도 원치 않았던 목적지에 도달할 수도 있다. 남북한의 경우 회담을 갖는 것조차도 힘드니 두 나라가 융합하는 것 또한 그만큼 힘들 것이다. 당연해보이는 두려움을 없애는 방법을 나는 모른다. 하지만 남북한이 서로를 경계하는 한 두 나라는 동화속의 나서레딘 호자처럼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