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On Internet and Accordions

Jay Mcnair (Davidson college)

Overseas Correspondent



The final examination a teacher must pass before graduating in North Korea is a critical one: a test of competency on the accordion. It’s the so-called “people’s instrument”, apparently because it’s easy to bring along on marches to construction sites or to labor in the fields, and needs no accompaniment save perhaps a voice singing a classic song like “We Have Nothing to Envy in the World.”



A student practices the accordion in Pyongyang, North Korea (photo credit LivingIf)



It is harder these days to unearth information on the accordion’s role in North Korean culture, because on Google almost every single search concerning accordions and North Korea returns a link or article concerning a video that has been making the Internet rounds, of aquintet of young North Korean accordion players improvising on the theme of a-ha’s “TakeOnMe”, that awesome ’80s popsong. You almost certainly know the song, famous for its memorably rotoscoped music video blending live action with penciled drawings.







This new video of North Korean accordionists is similarly memorable for its anachronistic melding of cultures, a confluence between a North Korea seemingly stuck in the ‘50s, a pop song firmly rooted in the ‘80s, a folk instrument invented in the 1800s, and a Norwegian artist in 2012 filming this small performance which spread all over the Internet. To North Korea, the ’80s are like the future. To us, both song and performers are as dated as an old Polaroid photo.


It is nice to get a glimpse of another side of North Korea, although the video is really only superficially interesting. It doesn’t say much about the culture of North Korea itself, only that these young men and women are pretty good at improvising on the accordion. But the video does highlight the ease of interconnection in this world, where I and millions of others like me can watch five random young people perform a Norwegian pop song in the most reclusive country in the world.


They call the Internet the “global village”, a term popularized in the 1960s before the Internet even existed, forecasting a day when it might. But today the Internet has more in common with the demographic function of cities. Since 1800 the population of the world has moved ineluctably toward cities, and in 2008 for the first time over 50%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d in cities. People flock toward cities because they enable the spontaneous connections that foster growth, a self-sustaining cycle that exists because cities host a dense concentration of people, so it’s where most new businesses are started, where they are financed, where the jobs are, and hence where the higher standard of life is.


A similar flocking effect is occurring with the Internet. The Internet is a virtual world city, where citizens anywhere can come together and share ideas, get funding, find jobs. Some of the more obvious migrations include:

social interaction (Facebook, Twitter, e-mail),

information dissemination (Google, Wikipedia, newspapers and magazines),

education (online universities),

retail (Amazon and eBay),

media production (YouTube, Flickr),

content management (collaborative documents and calendars),

professional networking (LinkedIn),

creative funding (Kickstarter),

philanthropy (Kiva),


…. and on and on. This barely scratches the surface.


As more people migrate to the web, more organizations offer services online and drive further migration to it. Increasingly, access to the Internet represents life in a city with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in the world. There were a billion people on the Internet in 2008, and over two billion in 2011, all within a virtual arm’s reach.


North Korea lacks access to this world city. Closed border notwithstanding, if North Korea had access to the Internet, it would have access to the world. The Internet is an enormously powerful tool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our standard of life is increasingly driven by the Internet. Without it, North Korea—as far out of the game as it is already—will only fall further behind.


I would never be writing this blog, would not have gone to Korea this past summer, if I had not used the Internet to discover the Ministry of Unification’s overseas correspondent program. The Internet can be superfluous, but it can also be a powerful tool for greater connection in the world.


I wonder if those North Korean students would be as good as they are at the accordion if they spent as many hours as I do on the Internet; but I would never even know to wonder about it—and neither would you, dear reader; and we would certainly never find out—without our global Web.




인터넷과 아코디언 


 북한에서 교사가 되기 위한 시험 중 마지막 단계는 굉장히 중요한 단계이다. 그것은 아코디언 연주 실력을 검사하는 시험이다. 아코디언은 휴대하기 편리해서 “국민의 악기”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에서 많은 관심을 받은 한 동영상때문에 요즘에는 북한 아코디언을 검색하면 그것부터 뜬다. 동영상에서는 다섯 명의 북한 학생들이 아코디언으로 80년대의 히트곡 a-ha의 “Take on Me"를 연주하고 있다. 


 북한 아코디언 연주의 이 새로운 동영상은 여러 가지 시대가 혼합되어 사람들의 흥미를 더 불러 일으켰던 것 같다. 50년대처럼 갇혀 사는 북한, 80년대의 팝송, 1800년대에 발명된 악기, 그리고 이 모든 광경을 촬영한 2012년의 노르웨이의 음악가가 어우러져 인터넷에 널리 퍼진 셈이다. 북한에게 80년대는 미래다. 하지만 21세기에 사는 우리에게는 "Take on Me"라는 노래도 동영상 속의 연주가들도 옛날 폴라로이드 사진을 보는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동영상은 연주가들이 아코디언 연주를 잘한다는 것 외에는 북한의 문화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지만, 이 동영상을 통해 북한의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좋다. 그리고 또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이 동영상이 입증하는 세계의 연결성이다. 이 한 동영상을 통해 수만 명의 사람들이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나라인 북한의 연주가들의 아코디언 연주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은 참 놀라운 일이다. 


 많은 이가 인터넷을 “global village” (지구촌)이라 부른다. “Global village"는 인터넷이 발명되기도 전인 1960년대에 대중화 된 단어이다. 하지만 지금의 인터넷은 도시의 기능과 비슷한 점이 많다. 1800년대부터 세계의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지방을 벗어나 도시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8년도에는 처음으로 세계 인구의 50%가 넘는 사람들이 모두 도시에서 살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도시는 사람들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주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사람이 많은 도시에서는 새로운 사업이 많이 나타나며 그로 인해 일자리가 많이 생겨나고 돈을 버는 사람이 많아 생활의 질도 높아진다. 


 인터넷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인터넷은 세계 모든 이가 한곳에 모여 생각을 공유하고, 지원을 모으고, 일자리도 검색할 수 있는 가상의 도시와도 같다. 인터넷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된다.

● 사회적 상호 작용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 정보공유 (구글, 위키피디아, 온라인 신문과 잡지)

● 교육 (온라인 대학)

● 미디어 제작 (유튜브, 플리커)

● 정보 관리 (온라인 일정표, 서류)

● 직업인 네트워킹 (LinkedIn)

● 창의적인 자원모집 (Kickstarter)

● 자선활동 (Kiva)


그리고 이외에도 너무나 많다.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많은 단체와 사업의 서비스는 온라인상으로도 제공된다. 이렇듯 인터넷은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하나의 도시라고도 볼 수 있다. 2008년도에 이 도시의 인구는 10억 명이 넘었다 그리고 2011년도에는 20억 명이었다.


 하지만 북한은 이 인터넷 세계에 접근할 수 없다. 닫힌 국경에도 불구하고, 만약 북한이 인터넷을 자유롭게 쓸 수 있다면 북한은 세계와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은 경제발전에 있어서 굉장히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북한의 경제는 이미 너무나 많이 뒤쳐진 상태이지만 인터넷의 힘이 없이는 더욱 뒤쳐질 것이다.


 만약 내가 인터넷으로 통일부 인턴십을 찾지 않았더라면 나는 지난여름에 한국에 가지 않았을 것이고 지금 이 기사를 쓰고 있지도 않았을 것이다. 가끔은 인터넷이 불필요하다고 느껴질 수도 있지만 우리를 세계와 연결시키는 훌륭한 도구이기도 하다. 


 만약 동영상의 북한 학생들이 나처럼 인터넷을 매일 몇 시간씩 한다면 그들의 연주 실력이 지금만큼 훌륭할까? 하지만 우리는 인터넷이 없었다면 그들의 연주를 듣지도 못했을 것이고 그랬다면 우리는 이 질문을 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더 중요한건 그들이 인터넷과의 접촉이 막혔기 때문에 우리는 질문을 한다한들 그에 대한 답은 결코 알지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