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많이 추워지면서 많은 청소년들이 집 밖에서 뛰어놀기보다는 집에서 시간보내기를 선호하고 있는데요, 겨울에는 특히 더 많은 청소년들이 실내에서 게임을 즐기곤 합니다. 그렇다면 북한의 청소년들은 어떨까요? 북한의 청소년들도 남한의 청소년들처럼 게임을 즐겨 할까요? 기사들에 따르면 북한의 청소년들도 게임을 즐기곤 한다고 하네요. 이번에는 북한의 청소년들이 즐겨하는 게임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는 동네마다 오락실들이 있어서 청소년들이 오락실에서 게임을 하곤 했는데요, 요즘에는 많은 청소년들이 오락실보다는 휴대전화나 컴퓨터로 하는 게임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그에 따라 오락실의 수도 많이 줄어들고 있는데요, 최근 '게임스파크'에서는 북한의 오락실을 보도해 이슈가 되었습니다. 한국과는 다르게 북한에서는 오락실을 '오락관'이라고 부르는데요, 사진의 오락관은 꽤나 큰 오락관인 것 같네요. 북한의 어린이들의 모습도 보이는데 신발을 구겨 신은 모습을 보니 꽤나 편안한 차림으로 게임을 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하는 게임인지 궁금하네요.
특히 전자신문에 따르면 왼쪽 사진의 '어뢰발사 놀이'는 일본의 게임업체 '남코(NAMCO)'에서 만든 '일렉트로닉 메카 잠수함'이라고 합니다. 게임기가 벌써 30년이나 되어 보도한 일본의 언론에서는 '보물 발견'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희귀한 게임이라고 하네요. 어서 통일이 와 북한의 어린이들과 오락관에서 게임기를 사용하는 기회를 가져보고 싶네요.
북한 청소년들이 하는 게임은 오락관의 게임만이 아닌데요, 최근 북한의 부유층 자녀들은 DVD나 컴퓨터 내장용 게임들을 즐겨한다고 합니다. 이 게임들은 DVD 재생기나 노트북 게임 프로그램에 담긴 DVD를 넣고 조이스틱을 연결해 작동하는 전투게임이라고 합니다. 북한의 청소년들이 즐기는 게임에는 중국에서 수입한 '탱크 전쟁', '로봇 총쏘기', '비행기 쏴 떨구기', '말 따라잡기' 등이 있다고 합니다. 전력이 잘 들어오지 않는 환경에서도 북한의 청소년들은 한두 시간의 전기 공급 시간에 게임을 충전해 게임을 한다고 하네요. 게임을 하고 싶어 하는 청소년들의 강한 열정(?)이 느껴지네요.
또 부유층의 자녀들은 노트북을 활용해 게임을 한다고 합니다. 게임을 즐기는 청소년들이 증가하면서 학부모들의 걱정은 늘었는데요, 게임에 지나치게 몰두하는 자녀들 때문입니다. 하루 종일 게임에 몰두해 학업을 등한시하거나 심지어 게임에 중독 증세까지 나타난다고 하네요. 게임을 좋아하는 모습은 남북한의 구분 없는 모습 인 듯합니다. (daily nk기사 재인용)
특히 2013년 북한 노동신문 인터넷 판에서는 일본의 닌텐도 게임기 '위(Wii)'를 하는 북한 주민의 사진을 공개했는데요, 평양의 문수기능회복원에서 게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남한에서도 많은 분들이 '위'게임을 즐기기 때문에 더욱 친근감이 느껴지는군요. 사진의 모습은 탁구 게임 인 듯 보이네요.
우리나라의 게임은 국제적으로도 유명하여 많은 국가에서 즐겨하고 있는데요. 그만큼 매력적인 게임들이 많이 개발되었기 때문입니다. 북한에서도 최근 자체적인 게임을 제작했다는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 '평양 레이서'라는 게임인데요, 중국 베이징에 있는 북한 여행사인 '고려여행사'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이 게임은 pc용 전자게임으로 차량을 이용해 평양 시내를 달리면서 연료통을 수집하고 장애물을 피하는 내용이라고 하네요. 또 다른 차와 부딪히면 교통경찰이 나타나 벌점을 준다고 합니다. 게임의 배경으로 평양의 개선문과 류경호텔, 주체사상탑 등이 등장한다고 해 평양의 모습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고 하네요. 실제 모습보다 훨씬 많은 고층 건물들이 나온다고 하는데, 그래픽으로 구현된 평양을 볼 수 있어 상당히 재미있는 게임일 거 같습니다. 통일을 통해 평양의 도로를 달리는 차를 타는 경험을 실제로 할 수 있는 날이 다가오기를 바랍니다. (출처: 연합뉴스 재인용)
'평양 레이서'의 시뮬레이션을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해주세요!
<출처>
여러분의 공감 하나가 통일부기자단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글 내용에 공감하셨다면, 공감을 꾸욱 눌러주세요♥
'통일 미래 길잡이 > 북한 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사회의 외부정보유입과 인적 네트워크 (2) | 2015.01.11 |
---|---|
북한 지하철에는 지하철 승무원이 있다? - 북한의 교통수단, 한눈에 살펴보기 (2) | 2015.01.08 |
평양에서 가장 큰 최초의 대형마트, 광복지구 상업중심 (2) | 2014.12.30 |
북한에도 강남이 있다? - 북한 최고의 부촌 창전거리 (3) | 2014.12.30 |
남한만 교육열이 높나요? 북한도 교육열이 높다구요! (0) | 201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