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생기자단 5기 최가현 기자입니다.
지난번 통일실천축제한마당 기사를 기억하시나요? 그 때 있었던 통일공모전 시상식에서 대상을 차지한 '통일교과서편찬위원회(이하;통교위)'를 인터뷰 했습니다!
09학번 전혜정, 10학번 김나래, 이숙미, 임경은. 총 네 명으로 이뤄진 통교위팀. 당찬 20대 그녀들의 이야기 지금 시작합니다.
Q.1 참가하게 된 계기가 무엇이었어요?
Q. 2 왜 하필이면 ‘교육’ 부분을 선택하셨나요? 다른 통일문제도 많은데...
Q. 3 국어, 역사, 근현대사, 미술의 총 네 과목으로 구성되어있는데 각 과목별로 중점을 둔 부분이 있나요?
(통교위의 교과서 일부)
Q4. 이 교과서의 대상은 청소년인데, 연령대에 대해 특별히 신경 쓴 부분이 있나요?
Q5. 오랜 기간 공모전이 진행 되었는데, 진행할 때 어려운 점은 없었나요?
Q6. 신문기사에 인터뷰는 물론 최근에는 지상파 방송국의 취재까지 있었습니다. 이 때 대상이라는 것을 예감했나요?
Q7. 수상특전으로 상금 500만원과 백두산 탐방의 기회가 주어졌는데요. 상금은 어떻게 쓸 계획이신지 살짝 알려주세요 +_+
Q8. 통교위의 이러한 프로젝트가 현실화 되기 위해 극복해야 할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대상이라는 값진 성과로 긴 공모전의 여정을 끝낸 그녀들. 마지막으로 소감을 물어보았습니다.
Q9. 간단하게 소감을 말해주세요.
4개월 동안의 여정의 마친 통일교과서편찬위원회! 통일을 생각하는 그녀들의 진심어린 애정이 좋은 결과로 이끌어 준 것이겠죠?
그녀들의 마음이 담긴 통일교과서로 공부하는 청소년들을 볼 수 있기를 바라며 이번 기사를 마칩니다.
'통일 미래 길잡이 > 현장과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북 연주자들의 하모니! 2012 평화통일콘서트 (0) | 2012.10.12 |
---|---|
상생기자단, '통일축제한마당'을 가다! (5) | 2012.10.11 |
제21차 제네바 국제연합 인권이사회를 가다 (2) | 2012.10.09 |
북한인권법은 북한 주민에게 보내는 사랑의 편지 : 북한인권법 통과를 위한 청년문화제 소정섭 청년 인터뷰 (3) | 2012.10.06 |
북한인권정보센터(NKDB)의 사례 보고회, 그 현장으로 (0) | 201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