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Escape Art and Propaganda: Part I (미술과 선전사이 1부)


In all of the novels that I have read about dystopias, art and literature always suffer a blow in some way. So, having grown up in a post-Cold War society that has taught me to associate its remnants with the dystopias of the literature required for a trimester of high school English, I wondered in what ways art and literature may be restrained in North Korea. Looking for signs of self-expression, I came across the artist Song Byeok, a former propaganda artist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and continues to produce art in South Korea. In Paul Ferguson’s CNN article on the success of Song’s exhibition this past winter, I learned that, despite being a full member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Song Byeok also suffered from the food shortages and famines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which forced him to cross the Tumen River in search of food in China. In need of food, he and his father attempted to cross the river together. Unfortunately, his father drowned in the act. Though a devoted party member who openly praised the North Korean people and culture as superior, Song still faced confinement in a North Korean detention center after authorities caught him searching the river for his father’s body. Not receiving understanding from those who had captured him after the death of his father, Song decided to defect.

After defection and setting up a new life in South Korea, Song became disillusioned with the homeland he had admired for so long because living in a new environment and society gave him an appreciation for the diversity of life that had been unknown to him while he lived in North Korea. As Ferguson’s interview relates, Song understood the economic disparity between his homeland and that of other nations but had long believed that North Korea had found the most superior way to inhabit the earth and had developed the best culture. It is no wonder that his propaganda art had been successful when he had lived in North Korea, considering his genuine love for his nation. However, his journey to a new life in South Korea, which involved encounters with different cultures and people, led him to new conclusions and reflections. He considers his previous allegiance to the North Korean regime and his devotion to the regime’s previous leaders blind – one that failed to see the limitations of his homeland or the positive aspects of other cultures and nations. 

Song paints his feelings of disillusionment in a comedic fashion in his art. Having come from a background of painting art for the purposes of propaganda for the Communist party of the North Korea, Song’s style reflects the same bright and bold colors; poster-board two-dimensionality; and politically motivated themes. However, the images no longer read as images of devotion but suggest the cynicism of the artist. Ferguson’s article speaks of Song’s transition as a man of propaganda art to one of pop art; however, with art that takes on political figures and themes as its topic, it does not lose its edge as a political device. In this case, forces that meet the North Korean regime with bafflement and a lack of understanding can use Song’s new pop art as a form of propaganda as well. Perhaps, as Song continues to create new works of art and continues to grow and develop in his personal understanding of his life and loyalty to the North Korean regime, he will shed more light on the society and people that continues to puzzle much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lease continue reading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for a more detailed look into specific examples of Song’s works of art.

For Paul Ferguson’s article on Song Byeok, please refer to this link of the CNN website: http://www.cnn.com/2012/03/24/world/asia/north-korean-artist-defector/index.html

 


미술과 선전 사이: 1부

디스토피아에 대한 많은 책을 읽으면서 배운 것은, 예술과 문학은 현실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이다. 냉전의 잔존물을 디스토피아에 대한 책과 연관 짓는 법을 배운 나는 북한에서는 예술과 문학에 어떠한 규제가 있는지 궁금했다. 북한에서 자기표현의 방법을 조사하다가 나는 미술가 송벽에 대해 알게 되었다. 그는 이전에 북한에서 선전 미술가였으며 한국으로 탈북한 지금도 미술을 계속하고 있다. 나는 미국의 CNN 기자인 폴 퍼거슨의 기사를 통해 송 작가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었다. 그는 1990년대의 기근으로 인해 먹을 것이 없어 식량을 찾아 아버지와 하였다. 떠내려간 아버지의 몸을 찾다가 경비원에게 발각된 송 작가는 노동당을 열렬히 지지하는 일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소에 갇히게 되었다. 그 후로 송 작가는 탈북을 결심했다고 한다.

탈북하고 한국에서 새로운 인생을 꾸리면서 그는 그가 그토록 사랑한 북한에 대한 환멸을 느끼기 시작했다. 새로운 환경과 사회에서 살아보니 북한에서는 몰랐던 인생의 다양성을 알게 된 것이다. 퍼거슨 기자의 인터뷰 내용에 의하면 송 작가는 북한과 다른 나라간의 경제적 차이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으나 그래도 북한은 다른 나라보다 더욱 우월한 문화를 가졌다고 믿었단다. 그가 북한을 이토록 믿고 사랑했으니 그의 선전미술 또한 성공적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다른 나라와 다른 문화의 여러 사람을 만나면서 그는 생각이 점차 바뀌기 시작했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가 전에 느꼈던 북한에 대한 충성심과 애정은 그저 맹목적이었다고 송 작가는 설명한다. 이러한 맹목적인 시선 때문에 북한에 한계와 다른 나라와 문화에 장점들을 보지 못했던 것이다. 

그는 이러한 감정을 작품을 통해 희극적으로 표현한다. 북한에서 오랜 시간 동안 노동당을 위해 선전용 그림을 그린 그는 지금도 그림 스타일에서 선전미술의 느낌이 많이 난다. 선전미술은 색깔이 밝고 화려하며 그림의 주제는 항상 정치적인 목적이 있다. 하지만 지금의 송 작가의 그림에서는 북한에 대한 열성이 아니라 오히려 냉소주의를 표현하고 있다. 퍼거슨 기자는 송 작가를 선전미술에서 팝아트로 전환한 한 작가로 표현한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송 작가의 그림에서 지금도 정치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북한을 이해 못하는 이들이 송 작가의 그림을 보고서 조금은 북한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송 작가가 개인적으로 성장하고 북한에서의 그의 삶 및 체제에 대한 사고가 깊어진다면 그는 국제사회에 더 많은 북한의 모습을 보여줄 것이다. 

송벽 작가의 작품을 통한 예는 미술과 선전 사이: 2부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