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Unification Support in Rural Provinces (지방에서의 통일의지)

Unification Support in Rural Provinces


Jeollanam-do province covers the southwest tip of the Korean peninsula, a fragmented fringe of islands and irregular coastline. Like every other province in South Korea, it is largely covered with mountains, but the fertile lowlands around the coast make it the agricultural breadbasket of Korea: farmers comprise 25% of its households (compared to the 7% national average). Checkered fields of rice, barley, and wheat are everywhere, dotted with small villages at the intersections of roads.

The provinces in present-day Korea date from the Joseon dynasty, when all of Korea—North and South—was divided into eight provinces, each one named after two of its principal cities. This southwestern province had Jeonju and Naju; take the first syllable of each and it becomes Jeon-na, or Jeolla if you follow Korean pronunciation rules (Chinese characters are involved, which complicates things). By this system California might be called Los-San. The rule applies similarly to most of the other provinces in Korea.

But if the naming conventions are the same, everything else about it is different. It’s the most typically “backward” province in the small country, due mostly to its rural constituency and a historic repression begun under the longest dynasty and continued, though slightly abated, in modern politics. The region is notable for dissent and major uprisings against the national government, and has long lacked significant support for its development.

With its rural population, isolated location on the southernmost reaches of the peninsula, and strong suspicion of national government, it’s no great surprise that North Korea and unification are far from important issues in the province. It is hard for them to care quite as much about such far-away concerns, just as Texans might not care that much if Vermont and Quebec were squabbling. There are fewer separated families that far south, weaker memories of the old connection with North Korea, and fewer North Korean defectors as well, the vast majority of whom are found in and around Seoul. Most of the action concerning North Korea is focused on the northern part co-latitudinous with Seoul; even when inter-Korean tension heightened after the Cheonan sinking and the shelling of Yeonpyeong-do, Jeolla folks—while deeply saddened for the loss of their fellow citizens—had trouble imagining any direct attacks on their small hamlets and fishing villages, isolated peninsulas sticking out into the Korean Strait.

This regional disparity and indifference is one of the problems facing South Korean officials preparing for unification. All of Korea will share in the cultural and economic expansion after the peninsula unifies, but it’s tough to convince some residents of this when their lives seem so far removed from those of their cousins in Seoul, let alone those of their northern neighbors.

The Ministry of Unification’s efforts to raise awareness and support through the Internet—South Korea has the steepest rate of Internet penetration in the world—are extremely cost-effective ways to reach folks in the provinces. Unification Facebook pages, blogs, radio, TV, etc. are available to even the most distant regions of the country, and are key in familiarizing folks with unification, current challenges, and ways to move forward.

And it is encouraging to remember that people will rise to the challenge, even in this backward province. In one of the least developed areas of the country—you could visit every single place described in my 440-page Lonely Planet guide and you would never end up here—an 82-year-old man has started his own unification fund.

In 2008, Kim Gab-Soo opened a bank account at the local post office in Goheung village, and has added about $80 every month since then. He has no family members or relatives left in North Korea, but that’s not why he started it. “We recovered our nation [after Japan’s colonial rule ended in 1945],” he said, “but our citizens still can’t get along with each other.”



Four years later, more than 350 citizens are making regular donations. The amounts are small—pocket money from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ofits made from selling vegetables—but every little bit will add up. About $20,000 has been raised so far, and there are no plans to stop—proving that support for unification comes from even the unlikeliest places.

Original article on citizen’s reunification fund from Korea JoongAng Daily.


지방에서의 통일의지

전라남도는 한국 남서지역에 위치해 있다. 한국의 여러 지역들과 같이 전라남도도 산이 많다. 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전라남도는 매우 비옥한 토지를 가지고 있어 한국의 곡창 지대로 불린다는 것이다. 전국 평균인 7%에 비해 전라남도는 25%의 인구가 농부이다. 논밭이 끝없이 펼쳐져 있고 사이사이 작은 마을들이 있다. 현재 한국의 도(道)는 조선시대 때 한반도를 8개의 도(道)로 나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도(道)의 이름은 각 도(道)의 제일 큰 두 도시의 앞 글자를 따서 지어졌다. 전라남도는 전주와 나주로 의해 지어진 이름이다. 이런 식으로 대부분의 다른 도(道)들도 이름이 지어졌다. 

하지만 이름이 만들어진 계기가 다른 도(道)들과 같다면 다른 면에서는 많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시골이라는 이유와  조선시대 때 시작된 길고 긴 탄압으로 인한 결과라고 볼 수도 있을 듯싶다. 전라남도는 정치적 반대, 반정부 봉기, 그리고 지역의 발전에 대한 지지가 떨어지기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이러한 전라남도에는 북한과 통일은 그다지 주요한 이슈가 아니라는 것은 놀라운 일은 아니다. 마치 텍사스 주민들이 버몬트와 퀘벡이 싸우든 말든 상관안할 것과 비슷하다. 남쪽 지방으로 내려 갈수록 이산가족의 수도 줄어들고 북한에 대한 기억도 줄어든다. 또한 시골지방에는 탈북민의 수도 적다.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이 있었을 당시에도 전라남도 시민들은 물론 애도하기는 하였지만 그들도 연평도처럼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는 생각은 안했을 것이다. 

지방지역의 이러한 무관심은 한국정부가 통일을 준비하며 닥친 문제점들 중 하나이다. 통일은 한국 전체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지만 일부 동떨어진 지역의 주민들에게 통일의 필요성 등에 대해 이해시키기란 쉽지가 않을 것이다. 

통일부는 인터넷과 같은 수단을 통해 통일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의 아주 외진 곳에서도 통일에 대한 SNS, 블로그, 라디오, TV방송 등을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통일의 필요성 등을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하지만 전라남도와 같은 보수적인 지역에서도 변화의 바람은 분다. 한국에서 제일 외진 도시라고 할 수 있는 곳에서 한 82세의 할아버지가 통일을 위한 기금적립을 시작한 것이다.

2008년도에 김갑수 할아버지는 고흥이라는 작은 마을의 우체국에서 통장을 만들고 그 후로 매달 8만원씩 입금했다고 한다. 그는 북한에 가족이 있어서 시작한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우리는 일본으로부터 나라를 찾았지만 지금까지도 평화롭게 지내지 못하고 있다”고 김갑수 할아버지는 말한다. 

4년 후인 지금은 350명이 넘는 주민들이 정기적으로 기부를 한다. 학생들의 용돈과 야채를 팔고 남은 수익 등으로 기부의 금액이 크지 않지만 작은 금액도 많은 도움이 된다. 현재까지는 2000만원 가까이 모았다고 한다. 그리고 통일이 이루어지는 그날 까지 기부는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