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The Small Candl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t the White House Dinner Party

 

The Small Candl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t the White House Dinner Party


GRACE KIM

  

 
One page of the repatriated defectors' names that was read at the vigil.
The North Korea Freedom Coalition’s Chairwoman Suzanne Scholte organized a vigil for the
repatriated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this past January. In front of the White House, I
stood among what seemed to be a small and quiet group in comparison to the Free Tibet
demonstrators who were standing a few yards from us. I could not help but think that the
ratio of demonstrators between the two causes, not that they’re in competition with one
another, reflected the levels of awareness the American public has about the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Tibetans and those against North Koreans. Nevertheless, no matter the
number, we had gathered to voice our solidarity with and the hope we have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cold wind blew upon the small white candles we were holding in remembrance of those
repatriated. President Hu Jintao was going to drive past us at any moment, down the
lamppost-lined Pennsylvania Avenue, decorated with a triage ensemble of two American and
one Chinese flags. Every news station covering Washington D.C. was covering Obama and
Hu’s meeting over U.S.-China relations–with all the pomp, colonial marching band
reenactments included. The sirens started ringing and police vehicles started zooming by,
signaling that the Presid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on his way.
The group of NK demonstrators grew, as more joined against the crimes done to the North
Korean people. A woman defector began the reading of the names of repatriated defectors
forcibly taken by the Chinese police back to North Korea. Korean war veterans in
embroidered caps, young children clinging to their parents, middle aged people, pastors and
a handful of reporters for small NK activist publications stood in silence as the names rolled.
I was asked to help and slowly read off the names on my page: Choi Sang Muk… male 50
years old, Kim Kyoung Sook…female 25, Kim Keung Sung …5 months old. It was hard to
grasp that all of these names were of people whom we would never be able to know if they
were dead or still alive. I could not help but think of the defectors our OneKorea team
laughed and spoke with last summer. Are any of them related? How can I fully understand
the fear and pain that Mr. Choi and Miss Kim may have experienced when returning back to
their homeland, where they were bound to be put in prison or put to death? What kind of life
would baby Keung Sung have led if she defected safely to South Korea?
I could see the lighted White House where famous and influential people mingled and
networked under chandeliers, holding crystal champagne flutes in their hands. Lights and
long candles probably adorned the dinner table. We were trying to keep our candles lit to
read off North Korean people’s names while their candles were a mere accessory. How do
you resolve one of the worst human rights crises in the century with a nation proactively
repatriating and enabling the DPRK to commit crimes… over caviar? But that reflection is for
another time.
But while standing there, holding my stuttering candle in one hand while clutching the list of
names in the other, I realized: there can’t be much change. Will we only continue to share
some words with the Chinese, trying to inspire or pressure them to use their influence to
control the DPRK, when in fact there may not be much China can do to retract North Korea’s
actions? The North Korea card at this point does not give either heavy player an advantage,
and seems to have been cast aside. 

 

백악관 만찬회와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집회

그레이스 김

  

북한자유연대의 대표 수잔 솔티는 지난 1월, 북한에 있는 탈북자를 위한 집회를 열었다. 나는 몇 야드 떨어진 곳의 프리 티베트 시위대에 비하면 작고 조용한 그룹과 함께 백악관 앞에 서 있었다. 경쟁하는 것은 아니지만 나는 두 시위대의 크기가 티베트와 북한의 인권 침해 문제에 대한 미국 시민들의 인지도를 보여준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숫자야 어찌되었건 우리 모두는 탈북자를 위해 뭉쳤음을 보여주기 위해 그 자리에 모였다.

 

북송된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우리가 들고 있던 작고 흰 초들 위로 찬바람이 불었다. 금방이라도 후진타오의 차는 두 개의 성조기와 한 개의 오성기로 장식된 가로등이 줄지어 있는 펜실베니아 에비뉴를 따라 우리를 지나쳐 갈 것이었다. 워싱턴 D.C.에 방영되는 모든 뉴스 매체들은 화려한 식민지 마칭밴드 재연을 포함한 미-중 관계를 위한 후진타오와 오바마의 만남을 반복해서 방송했다. 중국 인민 공화국의 주석이 오는 것을 알리며 사이렌이 울리고 경찰차들이 가까이 오기 시작했다.

 

북한 인민에게 가해진 범죄를 반대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우리 시위대의 규모는 커졌다. 한 여성 탈북자가 중국 경찰에 의해 강제 북송된 탈북자들의 명단을 읽기 시작했다. 수가 놓인 모자를 쓴 한국전 참전용사, 부모에게 매달린 어린이, 중년, 목사와 몇 개의 작은 북한 관련 간행물에 글을 쓰는 기자들은 침묵을 지키며 서 있었다. 나도 요청을 받아 몇 명의 이름을 읽어 내려갔다: 최상묵……. 50세 남자, 김경숙……. 25세 여자, 김긍성……. 5개월. 이 이름들이 결코 생사조차 알 수 없을 사람들의 것이라는 걸 믿기 힘들었다. 작년에 우리 OneKorea팀과 함께 웃으며 얘기했던 탈북자들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혹시 그중에 관련 있는 사람은 없을까? 어떻게 내가 최상묵씨와 김경숙씨가 겪었을 고통과 수감될지 혹은 처형당할지도 모르는 고향으로 돌아가는 두려움을 이해할 수 있을까? 아기 긍성이가 한국으로 무사히 돌아갔더라면 아이의 인생은 어땠을까?

 

난 불 밝힌 백악관 샹들리에 밑에서 유명하고 중요하신 분들이 크리스탈 샴페인 잔을 손에 들고 서로 어울려 사교 활동 중인 것을 보았다. 저 긴 초와 불빛은 아마 디너 테이블을 더 멋지게 꾸몄을 것이다. 우리가 북한 인민들의 이름을 읽으려 촛불을 켰을 때 그들은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초를 켰다. 한 국가가 주도해서 탈북자들을 송환시키고 북한이 범죄를 저지를 수 있게끔 놔둔, 금세기 가장 끔찍한 인권 침해 문제를 어떻게 캐비어 같은 것을 앞에 두고 해결할 수 있을까? 하지만 이 문제는 나중에 짚고 넘어가기로 하자.

 

한 손에는 깜빡거리는 초를 들고 다른 한 손에는 탈북자들의 명단을 움켜잡고 서서 나는 깨달았다. 크게 변할 것은 없다고……. 우린 북한 정부의 정책을 철회하는 데 중국 정부가 할 수 있는 게 없다 하더라도 지금처럼 중국을 격려하거나 압박해서 북한을 통제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밖에는 할 수 있는 게 없을까? 지금으로썬 북한이라는 카드는 미-중 양측 어디에도 이득을 주지 않고 버려진 것 같다.

 

 

* 이 기사는 통일부 해외기자단 1기 김은혜(Grace Kim, 美 Wellesley College) 기자가 쓴 기사로,

  영문과 국문을 같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