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톡톡바가지

한국사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북한이탈 대학생들

해가 지날수록 증가하는 북한이탈 대학생

먼저 북한 이탈 대학생들의 현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각 대학의 입학처에서 탈북 대학생에 대한 별도의 통계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생지원처에서도 탈북 대학생 재학과 휴학 관련된 사항을 정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탈북 대학생들에 대한 재학. 휴학. 중도 탈락 등에 대한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2011년도 통일부 조사에 따르면 사립대 기준으로 약 1132명이 대학에 재학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9년도에 759명, 10년도에 952명인 점을 고려한다면, 해마다 북한이탈 대학생은 증가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죠. 

구분

~

‘98

~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12

합계

()

831

565

510

474

626

424

515

573

608

662

591

795

404

369

304

8,251

()

116

478

632

811

1,272

960

1,513

1,981

2,195

2,252

1,811

1,911

1,098

1,145

1,092

19,267

합계

()

947

1,043

1,142

1,285

1,898

1,384

2,028

2,554

2,803

2,914

2,402

2,706

1,502

1,514

1,396

27,518

여성비율

12%

46%

55%

63%

67%

69%

75%

78%

78%

77%

75%

70%

72%

76%

78%

70%

< 북한이탈주민 입국현황(‘14.12월말 입국자기준)> 

 

북한이탈 대학생의 증가 이유로 우선 북한이탈주민 중 청소년, 청년층의 증가를 꼽을 수 있습니다. 위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북한이탈주민은 2000년을 기점으로 그 수가 증가하여 2006년부터는 한해에 입국자 수가 2000명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또 주목할 만한 것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단위의 입국이 크게 증가하면서 그들의 자녀들도 함께 들어와 청소년기, 청년기의 입국자 수가 늘어나게 되었다는 것이죠.  

 

구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

587

1,503

2,224

1,918

1,161

433

308

8,314

590

1,781

5,378

6,105

3,242

983

867

18,946

합계

()

1,177

3,284

7,602

8,023

4,403

1,416

1,175

27,080

<북한이탈주민 연령별 현황(‘14.8월말 입국자 기준)> 

  

한 위 표를 보시면 북한이탈주민들 가운데 20대가 7,602명으로, 30대에 이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여기에 남한사회의 과잉 교육열과 고학력주의의 만연이 남한사회에 새롭게 적응하는 북한이탈주민에게도 영향을 미쳐 북한이탈주민들의 대학 진학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죠. 이렇게 볼 때, 앞으로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임을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북한이탈 대학생들, 특히 조선시대 역사인식 부족해

해마다 이렇게 북한이탈대학생의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북한이탈 대학생들은 전공수업을 비롯한 대학 수준의 학업을 따라가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힙니다. 이들은 특히 영어와 외래어를 가장 어려워하고 전공과목 선택에도 한계를 가지며, 한국 사회의 기본적 교양과 문화적 경험의 부족으로 학교생활을 힘겨워합니다. 기초학력부족과 문화자본의 부족 등으로 대학의 강의를 잘 소화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죠.

 항목

1순위 

2순위 

언어 및 논술 교육 

0.9 

15.1 

외국어(영어) 

57.3

31.4 

IT활용 능력(컴퓨터) 

0.9 

9.33 

역사 및 세계사 

32.7 

30.2 

민주주의 및 시장경제교육 

2.7 

8.1 

기타 

5.5 

5.8 

< 대학입학 전 부족한 교육에 대하여>

 

특히 대한민국의 '역사'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북한이탈 대학생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0년 '한나라당 홍정욱 의원실'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학입학 전 부족한 교육'으로 1순위에 '외국어(영어)'가 뽑혔고, 그 뒤를 이어 2순위로 '역사 및 세계사'가 뽑혔습니다. 많은 북한이탈 대학생들이 역사분야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죠. 실제로 역사는 국가관 확립과 학문적 통찰력, 배경지식 배양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분야입니다. 따라서 역사의식 부족은 역사 지식 자체에 대한 지식부족 뿐만 대학수업전반에 대한 이해도 감소, 정체성혼란 가중, 자신감 부족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한이탈 대학생들이 역사의식이 부족한 원인은 무엇일까요? 바로 남북한 간의 역사교육의 차이를 들 수 있습니다.

 

상당한 남북한 역사교육의 차이

 역사교육의 차이는 역사교육의 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남북한 역사교육의 차이를 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각자가 어떠한 역사교육 목적을 추구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죠. 우리나라(남한)의 역사교육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사교육은 한국의 역사를 주체적으로 이해하여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이를 위한 방법으로 한국사를 구조적으로 파악하여 민족의 전통을 확인하고 민족사의 올바른 전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정신을 기르게 하는데 있다. 또한 과거를 토대로 현재를 이해하며, 역사를 통하여 삶의 지혜를 습득하고 역사적 사고력과 비판력을 함양하는 것이 역사 교육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북한의 역사교육의 목적은 우리나라(남한)과 다른 차이점이 드러납니다. 북한은 교육면에서 역사를 막론하고 모든 분야에서 정치적 의도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북한 교육의 기본 방침과 이론은 1977년 김일성의 이름으로 제시된 사회주의교육에 관한 테제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제시된 교육의 기본 방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회주의 교육 목적은 사람들을 자주성과 창조성을 가진 공산주의적 혁명 인재로 키우는 것이다. 사회주의 교육은 사람들을 사회와 인민을 위하여,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위하여 몸 바쳐 투쟁하는 공산주의적 혁명 인재로 키움으로써 사회주의 제도를 위하여 복무하고 노동계급의 혁명위업에 이바지하여야 한다


 이처럼 북한의 역사교육은 인민들에 대한 사회주의적 애국주의를 고양시키는데 목표를 둡니다. , 북한의 역사교육은 공산주의 혁명 인재인 투사(鬪士)를 양성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주체사상에서 말하는 자주성과 창조성의 육성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죠.


북한 교육 체계 내 빈약한 역사 교육


번호

교과명

학년별 주당 수업시간 수

1

2

3

4

5

6

1

위대한 수령 김일성 대원수님 혁명활동

1

1

1




2

위대한 수령 김일성 대원수님 혁명력사




2

2

2

3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원수님 혁명활동

1

1

1




4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원수님 혁명력사




2

2

2

5

항일의 녀성영웅 김정숙어머님 혁명력사




1



6

사회주의 도덕

1

1

1

1

1

1

7

현행 당정책




1

1

1

8

국 어

5

5

4




9

문 학




4

3

2

10

한 문

2

2

1

1

1

1

11

외국어

4

3

3

3

3

3

12

력 사

1

1

2

2

2

2

13

지 리

2

2

2

2

2


14

수 학

7

7

6

6

6

6

15

물 리


2

3

4

4

4

16

화 학



2

3

3

4

17

생 물


2

2

2

3

3

18

체 육

2

2

2

1

1

1

19

음 악

1

1

1

1



20

미 술

1

1





21

제 도




1

1


22

컴퓨터




2

2

2

23

실습(·)

1

1

1

1

1

1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육과정(1996년 개정 안)>

 이러한 목적아래 북한은 위 표에서와 같이 역사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표는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육과정을 정리해놓은 것인데요. 북한에서는 유치원과 인민학교(12년제 의무교육제에서는 소학교’)를 통해서도 역사를 배우지만, ‘고등중학교시기에 본격적으로 역사를 배우고 있습니다. 북한에서의 고등중학교 역사교육은 김일성김정일김정숙의 활동과 관련한 내용을 배우는 혁명력사과목과 고조선시기부터 일제강점기 시기까지의 내용을 다룬 력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내용을 보더라도 북한에서의 역사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남한에서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합친 형식인 고등중학교에서 한 주에 역사를 겨우 1~2시간만을 배우고 있으며, 이마저도 김일성, 김정일의 혁명 역사가 약 2배 정도 더 많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에 대해서도 낮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죠. 결국 북한에서 빈약한 역사교육을 받고 남한으로 왔기 때문에 한반도 전체에 대한 역사의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죠? 


 이렇게 북한 이탈 주민들이 남한 정착 과정에서 겪는 한국사 학습의 어려움을 살펴보았습니다. 북한이라는 자신들의 조국을 떠나 희망에 가득찬 마음으로 한국에 정착했지만, 그럼에도 남북 간의 역사 교육 등의 차이 때문에 쉽게 동화되지 못하는 이들의 현실이 정말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통일 이후에도 체계화되고 통합된 역사교육이 절실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통합된 역사 교육이 없다면, 남북한 주민들을 합칠 구심점이 될 '한 민족'이라는 특징이 무색해질 것이기 때문이죠. 또 한편으로는 장차 통합된 역사 교육이 과연 어떤 모습일지 정말 기대가 되기도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공감 하나가 통일부기자단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글 내용에 공감하셨다면, 공감을 꾸욱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