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Sang-Hun Choe, Journalist for New York Times &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Interview: Sang-Hun Choe, Journalist for New York

Times &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By Grace Kim






My favorite journalist had been a certain white-haired fellow on a cable news station until I met Mr. Sang-Hun Choe of the New York Times and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at a lecture about North Korean issues in the media at Wellesley College this past spring. Thoughtful and soft-spoken, Mr. Choe was too polite and humble for my presumptions of what a New York Times Asia Correspondent with a Pulitzer Prize winning book, The Bridge At No Gun Ri, coauthored with Charles Hanley and Martha Mendoza under his belt would could be like. I had been a fan of his New York Times pieces on North Korea in the past because his articles were comprehensive and clearly revealed that he did his research. Judging from his writing, I assumed that he crafted his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or another English- speaking country, but much to my surprise, and probably to many Korean parents eager to send children abroad, he had never studied outside South Korea until his recent stay as a Koret Fellow at the Walter H. Shorenstein Asia-Pacific Research Center at Stanford University. Meeting him in person not only bumped the Silver Fox down my fan list, but also reminded me of the dedication that some journalists put into investigating topics and publishing their work for the world to read. The following interview shows a glimpse of journalism, North Korea issues in the media, and of the man behind the text.



> Q1: What made you want to become a journalist, especially an Asia correspondent?


Have you had other careers in the past? Journalism has been my only career. But I was not one of those who wanted to become a journalist from an early age. I sort of stumbled into it. I followed a friend in my graduate school to take an exam for an English-language newspaper. (In South Korea, newspapers select their reporters through written exams, supplemented by interviews.) Both of us were accepted. My friend quit after a month or so. I stayed, partly because I had no other job lined up. But I grew to like journalism. Observing what’s happening in a society and writing it down as a news story fast, accurately and thoughtfully in competition with other practitioners is a work both challenging and exhilarating.



> Q2: As a South Korean working for an American publication, what pressures do you

face or liberties do you have?


Except three years, I worked for an English language newspaper in Seoul. I have spent my career writing for American news media, first The Associated Press and then Th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and The New York Times. I cover my home country, Korea, for a foreign newspaper. The meaning of ‘foreign’ in the term ‘foreign correspondent,’ as it’s used in describing what I do, is not the same as it applies to journalists dispatched, say, from the US and Japan to report on Korea. I try to see things I consider important in explaining Korea to foreign readers that are missed by these correspondents. But since I never ‘came to’ Korea, I lack a newcomer’s fresh eye. A typical foreign correspondent arrives in Seoul, spends three or four years and leaves for another posting. To their fresh eyes, certain themes stand out. They eagerly pound out stories, with different ‘angles’ but very often repeating and reconfirming what their previous colleagues had already written. Partly because of that, news in Korea comes in circles and stereotypes. There are honorable exceptions, but every couple or few years, you see certain stories about Korea reappearing in American news media. Though often hung on a different “peg” each time, it’s basically the same dress _ the same theme with the same messages. I try to see news with foreign readers in mind but also with my own native Korean eye and sensitivity. It’s a skill you learn if you spend enough time in the line of work I do. But you get to ask yourself questions like: Who am I? What is news? and What is news in Korea?



> Q3: From your experience, why do you think that human rights issues often get cast

aside for North Korea news?


Partly because people think that no matter what they do or say, it would have little impact on the North Korean regime’s policy on human rights. Partly because North Korea is so isolated that it’s hard to get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human right situation in the North. Partly because the stories we do hear about the gruesom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are so repetitive — also coming from a small group of (often politically active) defectors repeatedly interviewed by media and activist groups — that the media think that there is no new ‘angle’ any more. Partly because the governments dealing and arguing with the Pyongyang regime have never made human rights a central issue. Partly because some of these governments think that bringing up human rights may derail their focus on dismantling the North’s nuclear weapons programs. It’s a long-running debate: whether you bring up human rights in direct confrontation with the North or work to help North Korea reform itself.



> Q4: Would there be a way for news outlets to feel a bigger incentive to spread

awareness about human rights issues in the DPRK?


I don’t see a way, except that more journalists and editors one day realize that they should care and write more about human rights in North Korea. Maybe the challenge is to write what had been already reported many times in a new more compelling way.



> Q5: Mainstream news does not seem to speak much about reunification issues, what needs to happen?


Journalists mostly report what’s happening; they don’t usually try to create an agenda. Right now, they don’t see any major call for or movement toward Korean unification. I don’t think such a movement will come from any country other than South Korea. Currently journalists don’t see such a movement in South Korea. Even if analysts and officials talk about Korean unification, they seem to do so only in the context of a sudden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For some personal questions:

> Q: What do you like to do when you’re not writing for the NYT?


I have not really thought about it. I will like any work that keeps me busy thinking, working

and writing.


> Q: What’s the best part about being a journalist for you? Do you get to correspond

with your readers?


You see or hear things and try to find out about them and write an account of them for publication. That’s a swell thing to do. I do correspond with readers. Although I have been on a leave of absence for seven months, I still get emails from readers asking questions, seeking advice on Korea and other things. I try to be helpful.


> Q: If you could be anywhere in the world right now, where would you be?


Personally, I would like to travel in central Asia, the Russian Far East and Patagonia.

Professionally, I would like to be in North Korea as a resident foreign correspondent.


> Q: If you weren’t a journalist, what career would you have chosen?


I have seldom thought about this question. As a journalist, I have met or watched many people in many different jobs. None of these jobs, I have been envious of. I admire people because of what kind of persons they are, not because of what kind of job they have. Having said that, when I was a small child, I wanted to become a locomotive driver. I held onto that dream for a few years after seeing a train for the first time. As many Koreans of my generation who had grown up in the countryside would say, I also wanted to be rich when I grew up. Another dream unfulfilled.

 

인터뷰: 뉴욕타임즈&인터내셔널 해럴드 트리뷴의 저널리스트, 최상훈


그레이스 김

<!--[if !supportEmptyParas]--> <!--[endif]-->



지난 봄 웰즐리대학에서 있었던 ‘미디어 속의 북한 문제’에 대한 강의를 듣기 전까지 내가 가장 좋아하던 저널리스트는 케이블 뉴스 채널에 나오던 흰 머리 진행자였다. 뉴욕타임즈와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에서 일하는 최상훈씨는 공동저자인Charles Hanley, Martha Mendoza와 쓴 책 ‘노근리 다리’로 퓰리처상을 받은 뉴욕타임즈 아시아 특파원이라는 타이틀이 풍기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사려 깊고 나긋나긋한 말투를 구사하는, 예의바르고 겸손한 분이셨다. 나는 그가 뉴욕타임즈에 게재한 북한 관련 기사들을 좋아했는데 광범위하고 또 제대로 조사한 흔적이 드러나 있기 때문이었다. 그의 글들로 미루어보아, 나는 그가 미국이나 다른 영어권 국가에서 영어를 배웠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나를 비롯하여 자녀를 조기유학 시키길 원하는 부모들에게는 놀랍게도 스탠포드 대학의 월터 아시아-퍼시픽 리서치 센터에서 코렛 연구원으로 오기 전까지는 유학을 한 적이 없다고 한다. 그와의 인터뷰는 내 팬 리스트에서실버폭스(마블사의 캐릭터)를 밀어냈을 뿐만 아니라 저널리스트들이 주제를 정하고 발표하는데 쏟아 부은 노력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만들었다. 이번 인터뷰는 저널리즘, 미디어 속의 북한 문제와 그 뒤에 있는 한 남자에 대한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Q1: 어쩌다 저널리스트, 특히 아시아 특파원이 되었나? 다른 직업을 가진 적이 있나?

-저널리스트는 내 유일한 직업이다. 하지만 어려서부터 기자가 되고 싶어 했던 것은 아니고 그냥 우연히 된 거다. 대학원 시절 친구를 따라 영어신문사 시험을 본 적이 있었다. (한국에서는 신문사에서 시험을 통해 기자들을 뽑고 필요하다면 인터뷰도 했었다.) 우린 둘 다 합격했지만 내 친구는 한 달 정도 후에 관뒀다. 난 다른 할 일이 없었기 때문에 그냥 남기로 했다. 그러다 저널리즘이 좋아졌다.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찰하고 빨리, 정확하고 심도 있게 기사를 쓰는 것, 현역들과 경쟁하는 건 도전적이고 신나는 일이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Q2:미국 출판사에서 일하는 한국인으로써 어떤 압박감이나 자유가 있나?

-3년을 제외하고는 서울의 영어신문사에서 일했다. 난 연합뉴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그리고 뉴욕타임즈등 미국 미디어를 위해 글을 써왔다. 난 외국 신문사를 위해 한국에 대한 기사를 쓴다. 내 직업을 설명할 때 쓰이는 ‘외국’이란 ‘해외 통신원’을 말하는 것이지, 외국으로 파견된, 예를 들면 한국에 대한 것을 쓰기 위해 미국이나 일본에서 온, 기자들과는 다르다. 난 이 특파원들이 놓쳤지만 외국 독자들에게 한국을 설명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에 집중한다. 하지만 난 한국에 ‘온’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외부인의 눈으로 보는 참신함이 없다. 보통 특파원들은 서울에 와서 삼사년 후 다른 임무를 위해 떠난다. 그들의 새로운 시각으로 특정한 주제들을 찾아내 열심히 ‘새로운 각도’로 글을 쓴다. 하지만 그들은 빈번히 선임 특파원이 썼던 내용을 반복하고 재확인 할 뿐이다. 일부는 한국의 뉴스라는 게 반복되고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아닐 경우도 있지만 한국에 대한 특정 뉴스들은 미국 뉴스에 몇 년에 한 번씩 재등장 하곤 한다. 가끔 다른 못에 걸려 있긴 하지만 결국은 같은 옷이다, 같은 주제에 같은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옷. 난 외국 독자들 뿐 아니라 한국 본토인의 시각과 감각도 염두에 두고 뉴스를 본다. 내가 하는 이 일을 오래 하다 보면 느는 스킬이다. 하지만 스스로에게 나는 누구인가? 뉴스란 무엇인가? 한국의 뉴스란 무엇인가? 와 같은 질문들을 계속하게 된다.


>Q3: 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왜 인권 문제는 북한 뉴스에서 제외되는가?

-우선은 사람들은 자기가 무엇을 하거나 말하든지 북한의 인권 제도에는 별 영향을 못 끼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 북한은 너무 고립되어 있어서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인권 문제를 한번에 파악하기 힘든 것도 있다. 게다가 우리가 듣는 끔찍한 북한의 인권 유린에 대한 얘기들은 반복되는 것이어서 언론은 더 이상의 새로운 시각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디어나 운동권에서 인터뷰 한 탈북자들 (가끔 정치권도 포함한) 도 같은 내용을 반복한다. 또 다른 이유로는 아마 평양 정부와 거래하고 말씨름 하는 정부들이 인권 문제를 중요 문제로 삼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들은 인권 문제를 거론하면 정작 집중해야 할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 해체에 대한 안건마저 위험해 지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인권 문제를 북한과의 직접적인 대립문제로 만들 것인지 아니면 북한이 스스로 바뀌는 것을 도울지는 장기적인 논쟁 주제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Q4: 뉴스 미디어들이 북한 인권 문제의 인지도를 높일 장려책이 있나?

- 어느날 갑자기 기자들과 편집자들이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서 더 많이 생각하고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 한 다른 장려책은 없다고 본다. 아마도 문제는 이미 여러번 보고된 것들을 어떻게 더 흥미롭게 쓰느냐일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Q5: 주류 미디어들은 통일 문제에 대해 별로 얘기 한 적이 없는 듯하다, 어떻게 해야 하나?

- 기자들은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서 주로 쓰지 어떤 일이 일어날 지에 대해서는 별로 쓰지 않는다. 지금 당장은 통일을 향한 어떤 중대한 사건도 없다. 나는 남한이 아닌 다른 국가에서는 그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자들이 보기에 지금 한국 정부는 그런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다. 분석가와 관료들이 한국 통일에 대해서 얘기를 하더라도 북한 정권의 갑작스런 몰락을 가정하는 것처럼 보인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리고 개인적인 질문들:


>Q: 뉴욕타임즈에 낼 글을 쓰고 있지 않을 땐 무엇을 즐기나?

- 별로 생각해 본 적 없다. 아무거나 내가 계속 생각하고, 일하고 쓰는 거라면 좋아할 것 같다.


>Q: 저널리스트의 가장 좋은 점은? 독자와 소통은 하는가?

- 어떤 것에 대해서 보거나 듣고, 조사하고, 출판을 위해 그들이 되어서 글을 쓰는 것이다. 그건 정말 벅찬 일이다. 독자와 소통도 한다. 일곱 달째 쉬고 있지만 독자들한테서 질문이나 한국에 대한 조언을 구하는 이메일을 받는다. 도움을 주고 싶다.


>Q: 지금 당장 세계 어디에든 갈 수 있다면, 어디로 가고 싶나?

-개인적으로, 러시아 극동이나 파타고니아, 중앙아시아를 여행하고 싶다. 일적으로는 북한에 상주하는 해외 특파원이 되고 싶다.


>Q: 저널리스트가 되지 않았다면 어떤 직업을 택했을 것 같나?

-이 질문에 대해 거의 생각해 보지 않았다. 이 일을 하면서 많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거나 보았지만 어떤 직업도 부럽지 않았다. 그러고 보니 어렸을 때는 기관차 차장이 되고 싶었다. 처음으로 기차를 보고 나서 몇 년 동안 그 꿈을 가졌던 것 같다. 내 또래의 시골 한국 꼬마들이 그랬던 것처럼 부자가 되고 싶기도 했다. 그 꿈도 실패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 이 기사는 통일부 해외기자단 1기 김은혜(Grace Kim, 美 Wellesley College) 기자가 쓴 기사로,

  영문과 국문을 같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