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쫑알쫑알 수다방

남북한 모두에게 버림받은 비운의 독립운동가, 약산(若山) 김원봉 (1)

 일제강점기를 통틀어 최고액 현상금이 걸렸던 인물, 백범 김구 선생과 함께 1930년대 이후 중국 내 독립운동의 양대산맥으로 불렸던 인물. 그는 바로 의열단장, 조선의용대장, 민족혁명당 총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직 등을 역임하며 평생을 조국의 독립을 위해 살았던 약산(若山) 김원봉(1898. 9. 28.~1958. 11. ?) 선생이다.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95주년을 맞이하면서 여러 독립운동가들이 재조명 받고 있음에도, 남(南)에서는 월북한 ‘빨갱이’ 공산주의자로 낙인찍히고 북(北)에서는 ‘국제간첩’으로 몰려 숙청된 그의 흔적을 찾기란 여전히 쉽지가 않다. 그래서 기자는 약산 김원봉이 나고 자랐던 경상남도 밀양을 직접 찾아가 그가 살았던 삶의 발자취를 차근차근 따라가 보기로 했다.



밀양 남천강의 노을  약산 김원봉이 어린 시절을 보낸 밀양 남천강변 



지금은 고향에서마저 잊혀진 존재

 밀양역에 도착해 버스를 타고 그의 생가로 향하는 길, 밀양 시내를 아름답게 가로지르고 있는 남천강이 보였다. 어린 시절 김원봉은 남천강변에서 밤낮으로 축구를 하거나 냉수욕을 하면서 신체를 단련했고, 일제강점기 당시에 금지되었던 조선역사서들을 읽으며 자라났다고 한다. 소년은 이곳에서 공부하고 노닐면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는 산처럼 크고 높은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을 하며 약산(若山)이란 호를 지었으리라.

 아름다운 남천강변을 뒤로하고 강 바로 지척에 있다는 김원봉 선생의 생가, 밀양시 내이동 901번지를 찾아 나섰다. 그런데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주소를 입력하고 찾아간 곳엔 기대했던 김원봉의 생가가 아닌 한창 진행 중인 공사판이 눈앞에 펼쳐졌다. 서울 청계천을 모티브로 도심을 가로지르는 천을 복원하는 중인 것 같았다. 한참동안 근처를 헤매면서 맴돌다 한 동네 어르신의 도움으로 작은 표석 하나를 겨우 찾아냈다. 공사판 옆에 외로이 서있는 자그마한 표석이 이곳에 약산 김원봉의 생가가 있었음을 쓸쓸히 말해주고 있었다. 원체 우리나라에서 잊힌 독립운동가이다 보니 애초부터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찾아갔음에도, 비 오는 날 황량한 공사판 구석에 덩그러니 서있는 표석을 바라보고 있자니 이유모를 슬픔과 처량함이 느껴졌다.



약산 김원봉의 생가터  공사장 옆에 초라하게 놓여있는 표석.
이곳에 약산 김원봉의 생가가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유일한 흔적이다.


 공사판 바로 뒤쪽은 김원봉과 생사고락을 평생 함께 했던 또 다른 밀양의 독립운동가 윤세주(1901. 6. 24.~1942. 6. 3.) 선생의 생가터도 있었다. 표석뿐만 아니라 표지판까지 있다는 것이 표석만 덩그러니 있던 김원봉의 생가터보다는 조금 낫다면 나은 점이었을까. 하지만 윤세주의 생가터도 김원봉의 생가터와 마찬가지로 누군가가 정확한 위치를 가르쳐주지 않으면 바로 앞으로 지나가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초라했다. 기자가 이곳을 찾은 날에도 주차된 자동차들이 표석과 표지판을 가로막고 있어서 동네주민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무심코 지나쳤을 것 같았다. 실제로 생가 근처를 지나가던 안재근(25)씨는 “밀양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계속 살아왔는데도 이곳에 독립운동가들의 생가터가 있는 줄은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석정 윤세주 생가터  석정 윤세주의 생가임을 알리는 표지판과 표석이 주차된 자동차에 가려져있다.

 

무장 항일투쟁으로 독립운동사에 큰 획을 남긴 민중의 영웅

 지금은 비록 이렇게 잊힌 존재가 되어버렸지만 해방 당시만 해도 김원봉은 민중들의 절대적인 지지와 사랑을 받는 영웅이었다. 조국이 해방된 후 김원봉이 고향 밀양을 방문했을 때, 이 작은 소도시에 무려 10만여 명의 인파가 모여 그를 열렬히 환영했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작은 농촌도시의 시골소년이었던 김원봉, 그는 어떻게 무장 항일투쟁의 최전선에 나서게 된 것일까? 

 어린 시절부터 김원봉은 유난히 민족의식이 강한 편이었다. 그래서 밀양공립보통학교 재학시절에는 메이지 천황의 생일날에 동창들과 함께 일장기를 변소에 던져버리기도 했다. 이후에도 항일사상을 가진 스승, 친구들과 어울려 지내던 김원봉은 16살의 나이에 독립운동의 뜻을 품고 경성 중앙중학교로 편입한다. 19살이 되던 1916년부터는 중국으로 건너가 공부하면서 조국독립의 꿈을 키워갔다. 그러던 중 3.1운동이 일어났는데, 그는 일제가 이 평화적인 혁명운동을 잔혹한 방법으로 진압하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동아일보에 등장한 의열단  의열단의 의거를 다룬 동아리보 기사.
왼쪽 하단은 20대 초반의 앳된 모습을 한 의열단장 김원봉의 사진.


 이에 김원봉은 더 이상 평화적인 방법으로는 조선의 독립을 실현할 수 없다는 생각에 공감하는 그의 동료들과 함께 1919년, 항일비밀결사인 의열단(義烈團)을 조직한다. 그 후 의열단은 1920년부터 1926년까지 7년 동안 23차례에 걸쳐 도쿄왕궁과 각급 경찰서 등에 폭탄을 투척하고 일제 육군대장 다나카 암살을 시도하는 등 크고 작은 암살 및 파괴활동을 해 일제를 두려움에 떨게 했다. 조국이 일제에 짓밟히며 억압받고 있는 극한의 상황에서도 의열단은 무고한 불특정 다수를 살상하는 손쉬운 테러가 아니라 조선민중을 억압하는 인물과 시설에 대해서만 공격하는 어려운 길을 애써 택했다. 의열(義烈)이라는 말 그대로 김원봉과 의열단원들은 조국독립이라는 의(義)를 위해 목숨을 걸고 맹렬히 활동했던 것이다.

 그러나 1926년에 이르러 김원봉은 개인적인 암살투쟁이라는 의열단의 한계를 극복하고, 항일군대를 양성해 조직적인 투쟁에 나서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이에 그는 우선 자기 자신의 역량부터 키워야 한다는 생각으로 의열단 단장이라는 신분에 연연하지 않고 의열단원 24명과 함께 황포군관학교에 생도로 입교한다. 이곳에서 김원봉은 민족해방운동 사상과 군사전략을 학습하고, 장제스와 저우 언라이 등 중국의 중요인사들과 친분을 갖게 된다. 이후 조선의용대와 민족혁명당을 이끌며 독립운동의 최전선에서 활동했고, 또 한편으로는 황포군관학교 시절에 인연을 맺은 장제스의 지원을 받아 조선혁명간부학교를 설립하여, 후에 항일독립운동의 핵심인력으로 활약한 150여 명의 인재들을 직접 길러내기도 했다.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시인으로 유명한 이육사 선생도 바로 이곳 조선혁명간부학교에서 배출됐다. 그러다 1940년대 초부터는 임시정부와 광복군에서 활동했고, 1945년에 이르러 김원봉은 비로소 조국의 광복을 맞이했다. 


글, 사진 : 박일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