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Meet Professor Grace Chae

 

 Meet Professor Grace Chae

GI YOON KIM (edited by CL)

 

“People jump to assumptions, because it’s easy— I hope to show a bigger picture”

 

Grace Chae is a Korea Foundation Post-Doctoral Fellow at Wellesley College. She received her Ph.D. in History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specializing in Korean War POWs. Right now she teaches Modern Korean History: From the 1800s to the Present and Prisoners of War: International Norms and Practice at Wellesley College.

My fellow intern Christine Lee and I wanted to interview Professor Chae because we were curious about why she decided to study the Korean War, and specifically POWs. It is one thing to be interested about one’s heritage, but another thing to investigate a very underresearched topic from the Korean War and write a Ph.D. thesis on it. We also wanted to ask her for her insight on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s a Korean American and a researcher of Korean history, how she feels about the issue of reunification.

 

 

1. Q. What is your cultural background, and how did you became interested in the POWs of the Korean War?

A. I am a second generation Korean American, and my parents immigrated during the 1970s. Growing up, I had problems understanding my parents— when they talked abou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ir experience, I had no reference point to help me connect with them. In college, I was first a premed but decided to major in history instead. I studied the commodification of body in war. After graduation I worked at a law firm for two years, trying the field out, but then decided to return to studying history. I got into the POW issue because I was interested in the construction of self-identity. How Americans perceived Koreans after the Korean War and why the American military regarded Asians as without individuality and stuck in tradition aroused my interest.


 

2. Q. How were the POWs treated during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was a civil war in essence. Not all POWs in the South were North Korean soldiers. Not only were there South Korean refugees who were swept up into the military, but also the participants of “leftist” movements that sprang up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While they wanted more equality, such as land redistribution, not all of them were “communists”. How do you tell who is a communist and who is not? There were even children acting as messengers. It was a very murky issue.

 

Meanwhile, the US army underestimated the messiness of civil war. When the US army gave the choice to the POWs to be voluntarily repatriated, the prisoners had to make a decision on where they wanted to be sent. However, there were infiltrators from both sides and unseen coercion– many prisoners were forced into choosing a country they didn’t want to go to.

 

Also, the prisoners’ loyalties were tested and questioned. The US army asked questions such as ‘to what extent would you resist repatriation’, and if the answer was anything less than ‘I would physically harm myself’, it was considered that the person could be repatriated.

 

 

3. Q. How do you feel about the possibl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 I think reunification should be done peacefully, having the dual state operate while slowly opening up the borders. The Ministry of Unification’s job would be to build that bond of trust. Overall, I am hopeful for reunification.

 

 


4. Q. Do you see yourself as having a role in the process?

A. As a historian, I am responsible for showing the truth and helping people get past prejudice. The easiest way to shut down dialogue is to name call and refer to Kim Jong Il as simply evil. People jump to assumptions because it’s easy, but I hope to show the bigger picture. I believe my activism is through providing valid information about what has really happened.

 

 


Prof. Chae is currently revising her dissertation about the US reeducation of Korean and Chinese POWs during the Korean War to publish it as a book. She will continue her research in Wellesley College until the summer of 2011 and hopes to become a tenured professor in the future.

  

그레이스 채 교수님을 만나다.

김지윤 (CL편집)

 

그레이스 채는 웰즐리 대학의 한국국제교류재단 박사 과정 이수 연수생이다. 시카고 대학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땄으며 한국 전쟁 포로 전문이다. 현재는 웰즐리 대학에서 '180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전쟁포로'와 '국제 규범과 실천'같은 현대 한국 역사를 가르치고 있다.

 

내 동료 인턴인 크리스틴 리와 나는 채 교수님을 인터뷰 하고 싶었는데 왜 한국 전쟁을 연구하고 싶었는지, 그리고 왜 전쟁 포로(POW)를 택한 건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하나의 유산에 대해 관심을 가진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국 전쟁 중에서도 미미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연구를 하고 박사 논문을 썼기 때문이다. 또 지금 한반도의 상황에 대한 교수님의 견해와, 한국사를 연구하는 재미교포로써 통일 문제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도 하고 싶었다.

 

 

1.Q. 성장한 문화적 배경은 어땠으며 어떻게 한국전쟁 전쟁 포로에 관심을 갖게 되었나?

 

-우리 부모님은 1970년대에 이민 오셨고 나는 재미교포 2세이다. 자라면서 부모님이 일제 강점기를 설명하거나 그 시절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설명하면 이해할 수 없었다. 나는 부모님과 소통할 기준점이 없었다. 대학에 갔을 때 처음엔 의학부 예과였지만 역사학을 전공하기로 마음을 바꿨고 전쟁 중 시체의 상품화를 배웠다. 졸업하고 2년 동안 로펌에서 일하고 분야를 바꿔보려 하다가 마음을 바꿔 다시 역사 공부로 돌아왔다. 전쟁 포로를 선택한 건 정체성 확립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한국전 이후 한국인을 보는 미국인의 바뀐 의식이나 왜 미군이 아시아인은 전통에 갇혀 개인성을 잃었다고 여겼는지 흥미로웠다.

 

 

2.Q. 한국전 중에 포로들은 어떤 대우를 당했나?

 

-한국전은 기본적으로 내전이다. 한국에 잡힌 포로들이 전부 북한군은 아니었다. 강제 징병된 남한 난민도 있었고 해방 이후 좌파 행동에 가담한 사람들도 있었다. 그들은 땅의 재분배와 같은 평등함을 원하긴 했지만 모두가 공산당은 아니었다. 누가 공산당이고 누가 아닌지 어떻게 아나? 심지어 연락병 역할을 하던 꼬마들도 있었다. 몹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그동안 미군은 내전의 혼란스러움을 과소평가 했다. 미군은 포로들에게 자발적으로 귀향할 기회를 주었고 포로들은 어디로 갈 지 스스로 선택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속에는 양국에서 온 잠입자도 있었고 보이지 않는 강압도 있었다. 많은 포로들은 원치 않던 나라를 선택해야 했다. 게다가 그들의 충성심도 질문을 받고 심사를 거쳤다. 미군은 '어느 정도로 귀향하기 싫은가'같은 질문들을 던졌고 ‘자해할 수도 있다'라는 수준의 대답이 아닌 이상 귀향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3.한국의 통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천천히 경계를 허물며 두 정부가 이원 국가로 나라를 운영하여 평화적인 통일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통일부의 역할은 두 정부 사이에 신뢰를 심어야한다. 난 통일이 되기를 바란다.

 

 

4.Q. 스스로 이 과정에서 역할을 맡고 있다고 생각하나?

 

-역사학자로써 난 진실을 밝히고 사람들이 편견을 이겨내는 것을 도와줄 임무를 지녔다. 대화를 끝내는 가장 쉬운 방법은 김정일을 그저 악마로 칭하며 험담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쉽다는 이유로 바로 가정으로 건너뛰기 쉽다. 하지만 나는 더 큰 그림을 보여주고 싶다. 내 행동주의는 실제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유효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에서 나왔다고 믿는다.

 

최근 채 박사님은 한국과 중국의 한국전 전쟁 포로들에 대한 미국의 재교육에 대한 논문을 책으로 펴내기 위해 개정안을 만들고 있다. 박사님은 2011년 여름까지 웰즐리 대학에서 연구를 계속할 것이며 종신 재직권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

 

* 이 기사는 통일부 해외기자단 1기 김지윤(美 Wellesley College) 기자가 쓴 기사로,

   영문과 국문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