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A Discussion with Professor Katharine Moon: A Different Perspective



  A Discussion with Professor Katharine Moon: A Different Perspective


CHRISTINE OH (edited by Daisy Chang)






February 8th, 2011—Professor Katharine Moon of Political Science at Wellesley College sits comfortably in her chair, wearing a gray ANKHR sweater. She is the unofficial advisor for the Wellesley student organization, Advocates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ANKHR). ANKHR invited her to speak at a casual dinner-and-discussion to address a question that has been on all of our minds: What the hell is going on with North Korea?


Almost thirty students are gathered in a big living room, intently listening to her speak. She starts out by asking a familiar and frequently asked question: To whom do you listen when it comes to North Korea, and how to we know who’s right? From its governmental system to its organizational structure, everything about North Korea is foggy compared to the relative transparence of other nations.


So, what do we know about North Korea? Her answer: Well, not much. And what we do know, we must always question how we know it. Whatever information we have about the country, she says, must always be questioned.


Take the Cheonan sinking incident that happened last March. South Korea formed a Joint Civilian-Military Investigation Group (JIG) with teams of experts from the United States, Australia, the U.K., and Sweden to conduct investigations. Their assessment was that “a strong underwater explosion generated by the detonation of a homing torpedo below and to the left of the gas turbine room caused the Republic of Korea Ship (ROKS) “Cheonan” to split apart and sink.” (More information about this report can be found at http://www.korea.net/detail.do?guid=46843.)


According to the Russians, however, the results of the JIG do not match up with their findings. While the JIG claims that the torpedo had been under the ship two to three days before the explosion, the Russians have reason to believe that it had been under the sea six months prior to the Cheonan incident. Difference much? There are also those in the U.S. intelligence committee who are skeptical about these findings; they argue that the torpedo could not have split the ship in two the way that the Joint Investigation Group claims it did. Mysterious.


There are always challengers and outliers, Moon remarks. Then she brings up the fact that the Swedish team did not actually want to sign off on JIG’s report. (The Swedes have always been the neutral party between the two Koreas; they have a particular role on the Korean peninsula. For decades since the armistice was signed, they have sent a few Swedish and Swiss soldiers—from neutral countries—to serve as observers of the armistice, basically to see that it was being kept. It was the Swedish embassy in NK that vouched for the two eporters’ health and also mediated between governments for a resolution.) 


Now what about the Yeonpyeong Island incident? Why did it happen? Most speculate reasons relating to succession, that Kim Jong-un was attempting to show strength and leadership to a cynical military. Some experts suggest that Kim was letting his artillery soldiers play around (Moon conveyed her reservations about this idea); others think it may have been the country’s customary call for attention that they needed more aid.


Moon states that we must understand context before we can even attempt to judge the situation. With the aid of a color-coded map (shown above), she fills us in on the history of the island, explaining how its location in the Yellow Sea is a boiling hotspot—smack in the middle of naval territory that has been disputed since the Korean War. Then she brings up the fact that North Korea had been sending warnings to South Korean prior to their artillery firing. No one brought up the U.S.-ROK planned military exercises as a possible provocations for the attack. She also points out that North Koreans have always been reliable with their warnings. So why did they go ahead with everything?


To go further, if the situation were reversed, and the DPRK was doing live-fire exercises close to the South Korean borders, and shells fell in South Korean coastal lines, would South Korea stay still? No.

Here is a timeline (from Wikipedia) of the Yeonpyeong shelling incident that may bring more light to the situation: 


8:20AM: North Koreans warn ROK to halt military exercises 

10:00AM: South Korea takes an hour and forty minutes to decide what to do. They continue the exercises.

2:34PM: North Korea shells Yeonpyeong (after four and a half hours).

2:38PM: South Korea deploys F-16 jet fighters to the Yeonpyeong Island and returns fire

(after four minutes). What happened on North Korean soil?

2:47PM: Other forces are deployed to shell North Korea.


Moon’s analysis of the Cheonan and Yeonpyeong incidents and the questions she raises about them, are much different from what the media has been portraying to the public. She presents the argument that perhaps it wasn’t North Korea’s premeditated attack; it’s not a mystery as to why they ‘suddenly’ shelled the island. 


So, back to her first question: Which side do we believe? Moon’s answer: “It’s possible that there is truth on both sides. I don’t know.”

 

캐서린 문 교수님과의 토론: 다른 시각

크리스틴 오 (데이지 장 편집)

<!--[if !supportEmptyParas]--> <!--[endif]-->

2011년 2월 8일, 웰즐리 대학의 캐서린 문 교수님은 ANKHR 스웨터를 입고 편안하게 의자에 앉아 계셨다. 웰즐리 학생 동아리인 북한 인권 시민 연합 동아리 (ANKHR)는 캐주얼한 식사&토론 자리에 비공식 고문인 문 교수님을 초대했다. 모두가 궁금해 하는 질문, 도대체 북한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하기 위해서였다.

서른 명 가까이 되는 학생들이 큰 거실에 모여앉아 교수님의 말을 집중해서 들었다. 교수님은 익숙하고 자주 듣는 질문을 먼저 했다. 북한에 관해서 누구 말을 듣고 그 입장이 맞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북한에 관해서라면 정부 체제부터 조직 구조까지, 다른 나라에 비하면 어떤 것도 뚜렷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그렇다면, 우리가 북한에 대해 정말로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교수님은 "글쎄, 별로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것에 대해선 언제나 어떻게 알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질문을 해봐야 합니다. 그 나라에 대한 정보는 무엇이든 의심해 봐야 합니다." 라고 답했다.


지난 3월에 일어난 천안함 사건을 보자. 남한정부는 미국, 영국, 호주, 스웨덴의 전문팀과 함께 조사를 진행할 민군합동조사단 (JIG)을 구성했다. 조사단은 "가스터빈실 좌현 하단부에서 감응어뢰의 강력한 수중폭발에 의해 선체가 절단되어 침몰한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발표했다. (자세한 보고서 내용은http://www.korea.net/detail.do?guid=46843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러시아는 JIG의 발표는 그들이 찾은 내용과는 다르다고 발표했다. JIG에 의하면 수뢰는 폭발 전 이삼일동안 배 밑에 있었으나, 러시아 측에서는 천안함 사태 6개월 전부터 바다 밑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엄청난 차이다. 게다가 미국의 정보 위원회 일부는 어뢰가 JIG가 밝힌 것처럼 배를 두동강으로 절단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것 또한 미스터리이다.


문 교수님은 무슨 일이든 도전자와 방관자가 있기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는 스웨덴 팀은 사실 JIG의 보고서에 사인을 하고 싶지 않아 했다고 말했다. (스웨덴은 언제나 남북한 사이에서 중립자로 한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휴전 협약 이후 중립국인 스웨덴과 스위스는 휴전 협약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 관찰하기 위해 군인을 몇 명씩 보내왔다. 일전에 두 기자의 건강을 보장하고 두 나라 사이에서 중재를 했던 것도 북한의 스웨덴 대사관이다.)


그렇다면 연평도 사건은 왜 일어났을까? 김정은이 냉소적인 시선을 보내는 군에게 힘과 리더십을 과시하려고 했다는 추측이 가장 유력하다. 일부 전문가들은 김정은이 포병들이 멋대로 굴게 놔뒀다고 주장하고 일부는 원조를 더 받기 위해 관심을 끌기 위해 관습적으로 소동을 피운 것이었다고 말한다.


문 교수님은 그 상황을 판단하기에 앞서 그 전후사항을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색이 칠해진 지도를 보며 교수님은 섬의 역사와 더불어 왜 서해상 그 섬의 위치가 남북관계에서 뜨거운 감자인지 설명했다-바로 한국전쟁 이후로 계속 분쟁지역인 해상 영역의 가운데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북한의 포병대가 포격을 하기 전 남측에 경고를 계속 보내왔다는 사실도 지적했다. 아무도 한-미 군사훈련이 북한을 도발하는 것이라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북한은 자신들이 한 경고에 꽤나 충실하다. 그렇다면 왜 훈련을 감행했을까?


더 나아가서, 만약 상황이 뒤바뀌어 북한이 경계선 근처에서 실전 훈련을 하고 있었으며 탄피가 남한 영해에 떨어졌으면 남한군은 가만히 있었을까? 아니다. 다음은 이해를 돕기 위해 위키피디아에서 참조한 연평도 사건 일지이다.

8:20 AM: 북한이 남한에 훈련을 중지하라는 경고를 보냄

10:00 AM: 남한이 1시간 40분 동안 동안 고심. 훈련 재개.

2:34 PM: (4시간 반 후) 북한의 연평도 포격

2:38 PM: (4분 후) 남한의 F-16 제트기 출격과 대응 포격. 북한 땅은 어떻게 되었나?

2:47 PM: 북한 포격을 위한 추가 출격.


연평도 사건에 대한 문 교수님의 분석과 질문은 언론이 묘사한 것과는 많이 달랐다. 교수님은 아마 이건 북한의 계획된 공격은 아니었다, 왜 갑자기 섬을 공격했는지도 사실 베일에 쌓여있지는 않다 라고 주장하셨다.


다시 교수님의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자. 우리는 어떤 쪽을 믿어야 할까? 교수님은 "양쪽 다 맞을 수도 있다. 나도 잘 모른다." 라고 대답했다.



 

* 이 기사는 통일부 해외기자단 1기 오예진(Christine Oh, 美 Wellesley College) 기자가 쓴 기사로,

   영문과 국문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