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생기자단/해외상생기자단

Unification, Benjamin Button Style

 
Daisy Chang

Unification, Benjamin Button Style

  

 

 

 

Yesterday, I returned from a month long trip in Korea. I ate a chicken’s foot, avoided using the traditional Korean toilet (imagine a horizontal urinal built into the ground), went clam digging, survived the most humid summer in my life, and had my first beer. For a 21 year old college student in South Korea, all of this is the norm, a typical day. For a foreigner like myself, this even approaches “Weird/interesting Travel Experiences.” But there was one detail about my month that made it out of the ordinary—I experienced it all with North Korean defectors.

 

In a way, I felt I could relate to those refugees. We came from the same ancestors, from the same land, but now were foreigners in South Korea. We both spoke funny Korean (me from simply not knowing, them because of their distinctive accents). We both grew up with Korean traditions and customs, but a little modified so that we were relearning them now in South Korea. We tried things normal South Koreans do every day but we ourselves had never done in our home

countries. We were so similar, but so very different, two opposite ends meeting at the origin.

 

I learned a lot about them, and I learned a lot from them. I learned that generally, North Koreans don’t like candy or sweet snacks, or anything else they couldn’t eat much of before, such as meat. I learned that the women are good singers and the men are good drinkers. I learned about their views on America and their leader pre-escape. I learned not to ask about their background stories or their families.

 

What I learned from them was that none of these things, though generally true, actually define their people; that as much as we, as foreigners viewing this secretive nation, want to box them in with their border, they are individuals. I met defectors who liked sweets and those who didn’t drink at all, those who wanted to visit America more than anything and those who hated hearing us speak English. Some were selfish, defaulting on survival mode, but more often than not, the others were selfless, offering us food, seats, their stories. Some were quiet and reserved, others were outspoken and hilarious. I learned pottery from one, and about Kim Il Sung from another. From many, I learned nothing. In their diversity, I learned that we as a people of the world are all the same.

 

This makes me simultaneously hopeful and fearful about unification. Hopeful, because they’re not the brainwashed robots I had thought them to be. I learned from the defectors that the people of the DPRK are aware something is not right despite their enforced ignorance of the outside world, and it makes me think that they won’t oppose unification. I am fearful, not because of the way they think, but because of the way we think. We, America. We, South Korea. We, the rest of the world that is not North Korea.

 

I can’t speak for South Korea because it is not my country. I can’t even speak for the US, which is my country. All I can say is that we are connected—as people, for Americans and as sisters, for Koreans. Two countries meeting in the middle. There are many ways to prepare for unification, but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one is perspective.

 

 

 

 

통일, 벤자민 버튼 식으로.

Daisy Chang

 

 나는 어제 한 달간의 한국 여행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다. 한국에서 나는 닭발도 먹어보고 한국 전통화장실을 가지 않으려고 애써도 보고(땅 밑에 구덩이처럼 파놓은 변기를 상상해 보시길!), 조개도 캐보고, 내 생애에서 가장 습한 여름도 나보고, 또 태어나서 처음 맥주도 마셔보았다. 한국의 21살 난 대학생에게야 이 모든 것이 너무도 자연스러운 일이겠지만, 나 같은 외국인의 입장에선 <특이하고도 흥미로운 여행체험>이었다. 그러나 이 한 달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한 가지가 있었으니 - 바로 이 모든 것을 북한이탈주민들과 함께 경험했다는 사실이다.”

 

 

 어떤 면으론 나도 북한이탈주민들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모두 같은 조상의 자손들이고 같은 나라에서 태어났지만, 한국에서 현재 이방인의 신분이다. 우리는 모두 우스꽝스러운 한국어를 구사하며(나는 한국어를 잘 몰라서, 그들은 독특한 억양 때문에), 한국 전통과 문화를 배우며 자랐지만, 약간은 변형된 형태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다시 배우고 있다. 또한 우리는 우리가 살던 나라에서는 전혀 경험해보지 못했지만 한국에서는 너무나 일상적인 일들을 해내려고 애쓰고 있다는 것도 닮았다. 우리는 너무나 비슷하지만 또 너무나 다르다. 양 극단이 그 다름의 기원에서 서로 만난 것이다.

 

 나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고, 또 그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다. 나는 보통 북한 사람들이 캔디처럼 달달한 과자류나, 고기처럼 전에 먹어보지 못한 음식은 즐겨 먹지 않는다거나, 북한 여성들이 노래를 잘 부르고 남성들은 술이 아주 세다는 것을 배웠다. 그들이 미국에 대해, 또 그들의 전 지도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게 되었다. 그들의 배경이나 가족사는 묻지 말아야 한다는 것도 배웠다.

 

 그러나 내가 그들로부터 배울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특징들이 대개는 사실일지라도, 그 어떤 것도 북한 사람들을 정확히 정의내릴 수는 없다는 사실이었다. 우리는 북한이라는 비밀스러운 국가를 바라보는 외국인의 입장에서 정형화된 틀 안에 그들을 가두어놓으려 한다. 그러나 그들은 모두 각자 개성이 있는 한 개개인이다. 난 달콤한 과자를 좋아하는 북한 사람도 만났고, 술을 전혀 마시지 못하는 사람도 보았고, 그 무엇보다 미국을 제일 가보고 싶다는 사람도, 우리가 쓰는 영어가 너무 듣기 싫다는 사람도 만났다. 누군가는 살아남기 위해 급급했던 시절의 습관을 버리지 못하고 이기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또 다른 많은 탈북자들은 사심 없이 우리에게 음식을 나눠 주고, 자리를 양보해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일부는 조용하고 과묵했던 반면, 또 일부는 솔직하고 유쾌했다. 나는 그 중 어떤 이에게는 시를 배웠고, 또 다른 이로부터는 김일성에 대해 배웠다. 그들의 다양함 속에서 나는 우리가 세계 속의 한 인류로서 모두 같은 사람들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깨달음을 통해 나는 통일에 대해 희망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끼게 되었다. 내가 전에 상상했던 것과는 달리 이들이 세뇌된 로봇이 아니라는 점에서 희망을 보았다. 나는 북한이탈주민들을 통해, 북한주민들이 외부세계에 대한 접근을 차단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언가가 잘못되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따라서 그들이 통일을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내가 두려운 것은, 그들의 사고방식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방식이다. 우리 미국인, 한국인, 그리고 전 세계인들의 북한인데 대한 선입견과 고정관념이 걱정된다.

 

 난 한국인이 아니기 때문에, 한국을 옹호할 수 도 없다. 그러나 내가 미국 시민이라고 미국을 대변 할 수도 없다. 내가 할 수 있는 말은 우리가 모두 서로 이어져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하나의 인류로서 미국과 이어져있고, 또 같은 민족으로서 남북한이 서로 이어져 있다. 두 국가가 가운데 지점에서 만나는 것이다. 통일을 대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의 관점이다.

  

 

  

* 이 기사는 통일부 해외기자단 1기 장아나(Daisy Chang, 美 Wellesley College) 기자가 쓴 기사로,  

  영문과 국문을 같이 제공하고 있습니다.